
BYD 씰, 저가 전기차 열풍의 이면
중국 BYD가 두 번째 전기 세단 ‘씰(SEAL)’을 국내 시장에 선보이며 파격적인 가격, 보조금 효과 덕분에 단숨에 ‘공짜 같다’는 인식을 얻었다. 저렴한 실구매가가 입소문을 타면서 일부 소비자들은 전기차 가성비의 대표로 BYD 씰을 꼽기 시작했다. 하지만 구매 이후 불안감을 호소하며 “폐차장부터 알아본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빠르게 퍼지고 있다.

출고 일정과 인증 문제, 신뢰 흔드는 결정적 함정
BYD 씰은 최근 환경부로부터 부품 변경 인증을 받았지만, 업계와 소비자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이전 모델 아토 3도 보조금, 인증 서류 등 준비 부족으로 고객 인도가 약 두 달이나 늦어진 전례가 존재한다. 이번에도 작은 변수 하나가 전체 일정을 뒤흔들 수 있어 ‘언제 받을 수 있나’라는 근본적인 신뢰 문제가 커지고 있다.

보조금 체계와 모델 신뢰성, 공짜 효과의 진실
전기차 보조금은 BYD 씰의 매력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인증 변화나 일정 지연 등으로 보조금 지급 대상이나 금액이 달라질 수 있다는 불안이 남아 있다. 보조금이 늦어지거나 줄어들면 ‘공짜 효과’는 크게 꺾일 수밖에 없다. 또 공식적으로는 “2025년형 최신 생산 모델”이라고 홍보하지만, 실제 소비자 인도까지 시간표가 여러 차례 바뀔 수 있음이 약점이다.

운용과 유지관리, 중국차 장기 신뢰가 관건
BYD 씰은 일단 차값이 싸고 주행거리가 좋다는 장점이 있지만, 유지보수와 부품 공급, 서비스 네트워크 등 실제 이용환경에서는 국산 브랜드 대비 한계가 뚜렷하다. AS 인프라가 부족할 경우 차량을 장기 보유하거나 잦은 정비, 사고가 발생했을 때 ‘폐차장 신세’라는 우려가 현실이 될 수도 있다.
게다가 올해 하반기 출시될 SUV ‘씨라이언 7’의 성공 여부도 BYD코리아가 반복된 일정 번복과 신뢰 문제를 극복할지에 달려 있다.

공짜 전기차 환상 뒤의 현실…신뢰 회복 없인 지속 어려워
BYD의 저가 공세는 한동안 관심을 끄는 데 성공했지만, 출고·인증·보조금·AS 등 실질적 변수를 극복하지 못한다면 소비자 신뢰를 다시 얻기 힘들다. 장기적인 브랜드 성장을 위해서는 출고 일정 관리와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하고, 국내 AS 네트워크와 소비자 보장책을 강화해야 한다. 그래야만 ‘공짜’ 전기차 환상을 진짜 가성비와 실질 가치로 바꿀 수 있을 것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