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해시의 청년 기준 상향 조정 배경과 내용
경남 김해시는 2025년 7월 1일부터 청년의 연령 기준을 기존 **“15세 이상 39세 이하”**에서 **“19세 이상 45세 이하”**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청년 기본 조례 개정을 통해 이뤄진 이번 변화는, 학업·취업 지연과 늦어지는 결혼 및 출산 시기 등 현대 사회 여건을 반영한 결정이다.
이 결과 청년 인구는 기존 약 15만 명에서 약 18만 명으로 늘어 하루 만에 3만 명 증가하는 통계상의 변화를 가져왔다. 실제 인구 유입이 아닌 기준 확장으로 인한 행정적 변화지만, 지역 내 청년정책 대상자는 대폭 늘었다.

급격한 청년 인구 변화의 지역적, 사회적 맥락
김해시는 최근 수년간 만 20~30대 청년층의 순유출이 이어졌고, 특히 수도권과 대도시로 이동하는 사례가 많았다. 청년층 감소는 지역 산업 인력 수급과 생활 인프라 활성화 감소로 이어졌으며, 청년정책의 사각지대도 컸다.
45세까지로 청년 범위를 넓히면, 아직 경제적 기반을 다 잡지 못한 40대 초반 인구도 정책적 지원을 받을 수 있어, 지역 정착과 경제 활동 유지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45세까지 청년으로 인정받는 정책적 효과와 기대
연령 상향으로 포함된 40대 초반층은 청년 창업 지원금, 주거 지원, 일자리 매칭 서비스, 복지 혜택 등을 누릴 수 있다. 특히 중장년 진입 직전 세대의 경제 불안정성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 안전망 강화 효과가 크다. 김해시는 이를 기반으로 장년층 전환 이전의 ‘체감 복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해시 인구 구조 변화와 청년 인구 전망
김해시의 총 인구는 2024년 말 기준 약 56만 명이다. 청년 기준 상향 전에는 실제 청년 인구가 감소세였으나, 이번 조치로 인해 통계상 청년 비율은 높아졌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청년 인구 비율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기준 상향만으로는 한계… ‘진짜 청년 유입’이 더 중요
전문가들은 연령 기준 상향이 통계상 인구를 늘리는 효과는 있지만, 실제 지역 활력 제고로 이어지려면 청년층의 실거주·정착을 이끄는 근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양질의 일자리 창출, 창업 생태계 조성, 문화·여가 인프라 확충 등 실제 ‘머물고 싶은 도시’ 조성이 병행돼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순 수치 증가에 그쳐 청년층 순유출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주변 지자체로 퍼지는 ‘청년 기준 확대’ 바람
김해시의 결정은 인근 경남권 및 전국 다른 지자체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미 일부 광역·기초자치단체들이 청년 연령 기준을 45세 또는 49세까지 상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지방소멸 위기와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인구 유지 전략’으로, 향후 전국적인 흐름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각 지자체의 재정 여건과 정책 목표에 맞춘 세심한 설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기준 확장은 출발점, 실효성 있는 청년 정책이 관건
김해시의 청년 기준 상향은 단기적으로 통계 수치를 개선하고 정책 적용 대상을 확대한 고무적인 변화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청년층이 실제로 김해에서 살고, 일하고, 가정을 꾸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일자리·주거·문화·교육이 종합적으로 개선될 때 비로소 ‘청년이 늘어나는 도시’라는 실질적인 변화가 가능해질 것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