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MASLD) 환자의 간 손상 진행 속도가 특정 유전자 변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이재준 교수와 배시현 교수,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성필수 교수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최근 국제학술지 ‘Journal of Gastroenterology’ 온라인판에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논문은 ‘MASLD 환자에서 PNPLA3 I148M 변이와 간 면역세포 침윤 및 섬유화의 연관성’을 다룬 세계 최초의 전향적 유전자-표현형 연구로, 해당 변이(GG형)가 간 내 면역세포 활성화와 염증 반응을 촉진해 섬유화 진행을 가속화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MASLD는 간에 지방이 쌓이면서 비만, 당뇨, 고혈압 등 대사질환이 동반되는 질환으로, 일부 환자는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악화될 수 있다. 그동안 PNPLA3 변이가 질환 진행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알려져 있었지만, 면역 매개 염증 반응과의 직접적 연관성은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2024년 은평성모병원과 서울성모병원에서 MASLD 환자 70명을 전향적으로 모집해 PNPLA3 유전자형을 분석했다. 구강 상피세포 또는 간 생검 조직을 이용해 유전자 변이를 확인하고, 간 조직 면역조직화학 염색으로 T세포(CD3)와 대식세포(CD68)의 침윤 정도를 정량화했다. 그 결과, GG형 환자군은 변이가 없거나 일부 있는 GC/CC형 환자군에 비해 고도 섬유화(F3·F4) 발생률이 높았다. 특히 간문맥 주변에서 CD3⁺와 CD68⁺ 면역세포가 뚜렷하게 증가했고, CD8A, GZMB, CCL2, TIMP1 등 염증·섬유화를 촉진하는 유전자 발현도 현저히 높았다.
이재준 교수는 “PNPLA3 변이가 단순히 MASLD 진행 위험을 높이는 수준을 넘어, 간 내 면역세포 침윤과 활성화를 유도하는 병태생리적 연결 고리를 세계 최초로 제시했다”며 “향후 예후 예측과 면역 경로 기반 신약 개발의 토대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배시현 교수는 “유전자형에 따른 섬유화 진행 속도와 치료 반응 차이를 예측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임상 정밀의료 구현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필수 교수는 “MASLD 악화 원인으로 면역세포 활성화를 부각시킨 첫 유전-면역 연관 연구”라며 “치료 타깃을 정교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정밀 유전체 분석기업 제노헬릭스(Xenohelix)가 공동 참여했으며, 유전자 분석은 해당 기업의 SNP 기반 정밀 분석 플랫폼을 통해 진행됐다. 연구 성과는 유전자 정보 기반 맞춤형 간 질환 치료 전략 수립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조기 진단과 예방적 개입의 필요성을 한층 높였다.
![[사진] 이재준, 배시현, 성필수 교수](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5/08/CP-2023-0441/image-2d3545b8-9f94-48a6-9c7a-ac6dca63ecd0.jpeg)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