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랏빚’ 국채이자 2020년 18조 → 올 30조 돌파, 대한민국 재정의 빨간불

국채이자, 5년 만에 10조원 ‘눈덩이’…나라살림을 갉아먹는다
2020년 18조6,000억원이었던 대한민국의 국채 이자비용이 2024년 28조원을 넘었고, 2025년에는 30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최근 4년간 이자비용이 10조원(51.4%) 증가했으며, 연평균 13%씩 가파르게 늘고 있다. 이는 코로나19를 기점으로 한 확장재정, 세수 결손, 고금리 환경, 만기상환(차환발행) 급증이 겹치면서 정부가 새로운 국채를 찍어 이자만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2021년(19조2,000억원), 2022년(21조원), 2023년(24조6,000억원)에 이어 올해는 확실히 30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산 당국이 전망한다. 국고채만으로도 2020년 16조8,000억원→2024년 26조8,000억원, 2025년 30조원으로 늘었다.

‘확장재정’ 정책…국가채무·적자성 채무도 1,300조 시대
추가경정예산(추경) 등 확장재정 정책과 코로나 이후 경기부양, 세수 감소가 겹치며 중앙정부 채무는 역대 최대 폭(올해만 126조 증가)으로 1,267조원, 지방을 합칠 경우 1,300조원을 처음 돌파한다. 그중 적자성 채무는 900조원을 넘어, 상환 재원을 갖지 못한 빚(국고채, 국채 등)이 급증했다.
정부 재정지출 중 국채이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2020년 3.4%에서 2025년 4.4%로 치솟았다. 만기 상환을 위한 차환 발행도 올해 94조원, 내년 98조원에 달해 미래 세대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고금리와 추가 추경, 이자부담은 더 커질 듯
국채이자 증가는 발행량 급증뿐 아니라 고금리 기조의 영향도 크다. 2022~2023년 글로벌 금리 인상기 정부는 3%대 중반까지 금리에 국고채를 발행했고, 올해도 평균 3% 내외의 높은 금리 환경이 지속된다.
올해 두 차례 추가경정예산까지 더해 채권시장에 국채 물량이 대거 쏟아져, 조기상환(바이백) 등 관리여지가 크지 않다는 것이 당국 전망이다.

국가신용·재정여건 경고음…구조 개혁 논의 ‘필수’로
문제는 재정의 고비용 구조가 고착화되면서, 경기 침체기 세수 결손과 겹치면 국가 신용등급 하락 우려까지 나온다는 점이다. 정부는 지출 효율화, 빚 줄이기 등 재정 건전성 확보 노력을 약속했지만, 사회복지수요·고령화와 맞물려 국채발행 의존도는 일시적으로나마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FAQ
Q1. 왜 최근 국채 이자비용이 이렇게 빠르게 늘었나요?
코로나19 이후 확장재정, 추경, 고금리, 국채발행 급증이 겹치면서 4년간 10조원이 폭증했습니다.
Q2. 국가채무와 국채이자의 직접적 관계는 뭔가요?
국채(국고채, 적자성채무 등) 발행량이 늘수록, 그에 대한 이자지출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Q3. 국채이자가 30조원을 넘으면 재정엔 어떤 영향이 있나요?
국가 예산에서 이자비용이 늘면 복지, 투자, 공공서비스 등 타 분야 예산이 줄 수밖에 없습니다.
Q4. 앞으로 이자비용은 더 커질 수 있나요?
만기 상환, 고금리 지속, 추가 국채 발행이 이어지면 더 커질 가능성이 높아 근본 구조개혁과 세입 확대 논의가 시급합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