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나라 지킬 군인이 없다” 인구절벽으로 병력 감소하자 육사 ‘여성징병제 도입 가능성’

군대 밀리터리 분석가 조회수  


병력 자원 급속 감소, 한국군의 ‘적신호’

한국의 안보 환경에 근본적인 변화가 다가오고 있다.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절벽이 현실화되면서 병역 자원 자체가 빠르게 줄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학계와 군 안팎에서는 “현행 징병제가 앞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실제로 2025년 병역 의무 대상자인 만 20세 남성 인구는 22만 6000명 수준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되며, 2040년에는 15만명대로 추락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지금의 상비병력 규모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제도 개편 필요성이 절실하게 제기되는 배경이다.


여성징병제, 현실적 대안으로 부상

이러한 위기 속에서 학계에서는 성평등 실현과 병력 부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여성징병제를 제시하고 있다. 최근 육군사관학교 연구진은 학술지 혁신기업연구에 “여성징병제 도입 가능성 연구”를 게재하며 사회적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연구는 “병력 부족 문제를 보완하면서 성평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며, 여성이 국방의 주체로 자리잡을 가능성을 본격적으로 제시했다. 이는 단순히 병력을 늘리는 차원을 넘어, 한국군의 구조적 변화를 촉발할 수 있는 문제로 주목받는다.


노르웨이·스웨덴 사례, 성 중립 징병제 성공

여성징병제 논의는 이미 일부 국가에서 제도화된 경험이 있다. 노르웨이는 2016년 유럽 최초로 성 중립 징병제를 도입했다. 현재 남성 약 7000명, 여성 2000명 정도가 군에 징집되고 있으며, 복무자들에게는 학업·재정 지원이 주어진다.

흥미로운 점은 군 복무 경험자 가운데 여성의 90%, 남성의 83%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는 사실이다. 스웨덴 역시 2017년부터 남녀 모두를 대상으로 징병제를 실시하며, 국민 72%가 이에 동의했다. 두 국가는 높은 성평등 수준과 사회적 합의 덕분에 제도가 안착할 수 있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 성평등 현실은 걸림돌

그러나 한국 상황은 다르다. 한국은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젠더 격차 지수에서 146개국 중 94위에 머물러 있다. 여성의 경제 참여와 정치적 대표성, 교육 성취도에서 여전히 큰 격차가 존재한다. 정부 내 여성 장관 비율은 낮고, 기업 고위직에서도 남성 중심 구조가 강하다. 이런 현실에서 여성징병제는 상당한 사회적 갈등을 촉발할 수 있다.

여성권익단체 일부에서는 “군 복무가 성평등의 해법이 아니라, 오히려 여성에게 새로운 의무를 강제하는 역차별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따라서 제도 도입에는 사회적 합의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기술 발전, 여성의 한계 극복 열쇠

그럼에도 긍정적 요인도 있다. 현대전에서 군인의 체력보다 지식·기술 기반 전투력이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공지능, 드론, 사이버전, 원격 통제 시스템 같은 첨단 무기 체계는 성별에 따른 신체적 한계를 상당 부분 무력화시킨다. 특히 외골격 로봇, 신소재 방호복, 개인 전투 보조 장비는 남녀 모두의 전투 수행 능력을 평준화할 수 있는 장비로 꼽힌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서 활약한 여성 전투부대 사례는 전장에서 여성의 역할 확대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국군 역시 첨단 전투 장비를 도입하면서 여성 병력 활용의 문턱이 점차 낮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도입 위한 조건과 과제

전문가들은 한국이 여성징병제를 추진하려면 세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첫째, 복무 후 취업 지원·학자금 지원·사회 복귀 프로그램 등 사회적 인센티브를 확대해야 한다. 둘째, 첨단 과학기술 장비 도입으로 성별에 따른 신체 격차를 최소화해야 한다. 셋째, 여성징병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줄이기 위한 전략적 홍보가 필요하다. 여성징병제가 단순한 병력 충원이 아니라 성평등 강화와 군 조직 다양화의 핵심이라는 점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진은 결론에서 “여성징병제는 인구절벽 시대에 병력 확보를 위한 차선책을 넘어, 한국 사회의 성평등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제도의 성공 여부는 정치권·국민·군 모두의 합의와 현실적 보완책 마련에 달려 있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관련 기사

author-img
군대 밀리터리 분석가
CP-2025-0149@fastviewkorea.com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미국 없어도 된다" 기술이전 거부해 직접 한국이 만든 '이것' 진짜 역대급!
  • "대체 무슨일?" 미국 국기 달려있는 '이것' 우크라 진지 폭격! 이유 충격적!
  • 냄새 제거제 사지 마세요, 사과 하나면 됩니다
  • 노을 사진 찍고 싶어서 "송전탑 올라 갔다가" 감전사에 산불 까지 났다는 사건 정체
  • 사는 게 너무 지겨울 때 벗어나는 방법
  • 여자도 이제 군대 간다며 "병역법 개정하고" 무려 국회 발의까지 끝냈다는 이유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김건희가 옥중에서 가장 원망하며 배신자로 생각한다는 ‘이 사람’
    김건희가 옥중에서 가장 원망하며 배신자로 생각한다는 ‘이 사람’
  • 싱가포르 따라하다 전세계의 조롱거리 된 韓지방도시의 334억원짜리 흉물
    싱가포르 따라하다 전세계의 조롱거리 된 韓지방도시의 334억원짜리 흉물
  • 한국이 만든 ‘세계 3차 세계 대전’을 소재로한 드라마의 스케일 수준
    한국이 만든 ‘세계 3차 세계 대전’을 소재로한 드라마의 스케일 수준
  • 국민의힘 대표는 김문수가 될까? 장동혁이 될까? 냉철하게 분석해 보니…
    국민의힘 대표는 김문수가 될까? 장동혁이 될까? 냉철하게 분석해 보니…
  • “제네시스 비상 걸렸다!” 국내 출시되면 난리날 아큐라 RSX 공개
    “제네시스 비상 걸렸다!” 국내 출시되면 난리날 아큐라 RSX 공개
  • “700만원 경차 출시” 한번에 200km 주행하는 초소형 전기차 나왔다!
    “700만원 경차 출시” 한번에 200km 주행하는 초소형 전기차 나왔다!
  • “월 2만원 안 내면 출력 제한?” 폭스바겐 전기차 구독제 논란!
    “월 2만원 안 내면 출력 제한?” 폭스바겐 전기차 구독제 논란!
  • “현대차 긴장해야겠는데?” 2천만 원대 하이브리드 세단 L07 출시!
    “현대차 긴장해야겠는데?” 2천만 원대 하이브리드 세단 L07 출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김건희가 옥중에서 가장 원망하며 배신자로 생각한다는 ‘이 사람’
    김건희가 옥중에서 가장 원망하며 배신자로 생각한다는 ‘이 사람’
  • 싱가포르 따라하다 전세계의 조롱거리 된 韓지방도시의 334억원짜리 흉물
    싱가포르 따라하다 전세계의 조롱거리 된 韓지방도시의 334억원짜리 흉물
  • 한국이 만든 ‘세계 3차 세계 대전’을 소재로한 드라마의 스케일 수준
    한국이 만든 ‘세계 3차 세계 대전’을 소재로한 드라마의 스케일 수준
  • 국민의힘 대표는 김문수가 될까? 장동혁이 될까? 냉철하게 분석해 보니…
    국민의힘 대표는 김문수가 될까? 장동혁이 될까? 냉철하게 분석해 보니…
  • “제네시스 비상 걸렸다!” 국내 출시되면 난리날 아큐라 RSX 공개
    “제네시스 비상 걸렸다!” 국내 출시되면 난리날 아큐라 RSX 공개
  • “700만원 경차 출시” 한번에 200km 주행하는 초소형 전기차 나왔다!
    “700만원 경차 출시” 한번에 200km 주행하는 초소형 전기차 나왔다!
  • “월 2만원 안 내면 출력 제한?” 폭스바겐 전기차 구독제 논란!
    “월 2만원 안 내면 출력 제한?” 폭스바겐 전기차 구독제 논란!
  • “현대차 긴장해야겠는데?” 2천만 원대 하이브리드 세단 L07 출시!
    “현대차 긴장해야겠는데?” 2천만 원대 하이브리드 세단 L07 출시!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