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5위 군사력, 한국의 위상
올해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 군사력 평가기관인 글로벌파이어파워(GFP)에서 발표한 ‘2025 군사력 순위’에서 5위를 기록하며 지난 해와 동일한 순위를 유지했다. 대한민국보다 앞선 국가는 미국, 러시아, 중국, 인도에 불과하며, 영국, 프랑스, 일본, 터키, 이탈리아 같은 전통 강국들은 모두 한국 뒤에 자리한다. GFP 군사력 평가지표에서 한국은 0.1656점을 획득했으며, 이 점수는 0에 가까울수록 더 완벽한 군사력을 의미한다.

지속적 성장과 글로벌 평가지표
한국 군사력은 2011년 GFP 톱10에 첫 진입한 뒤 꾸준히 순위를 높여왔고, 지난해 처음 5위에 오른 후 올해까지 그 순위를 지켜냈다. GFP는 세계 145개국을 대상으로 60여 개 평가지표, 병력·무기 총량·국방기술력·예산뿐 아니라 육해공군의 종합 전력, 국가 인적자원, 지리적 조건까지 복합적으로 평가한다.

상위권 국가와 평가 한계
올해 상위 5개국은 미국(0.0744), 러시아(0.0788), 중국(0.0788), 인도(0.1184), 한국(0.1656) 순이다. 그 아래에는 영국, 프랑스, 일본, 터키, 이탈리아 등이 순위에 들었다. 북한은 0.6016점으로 34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현실 위협 수준에 비해 낮게 평가된 것이다. GFP 순위는 핵무기, 대륙간탄도미사일, 사이버전력과 같은 비대칭 전략자산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일부 국가의 실질적 위협 능력과 차이가 발생한다.

첨단 무기와 방산 혁신의 힘
한국이 세계 5위 굳건한 군사강국이 될 수 있었던 배경은 국방예산의 지속 증가와 방위산업의 눈부신 혁신, K2 전차와 K9 자주포, KF-21 등 국산 첨단 무기체계의 내부화에 있다. 천궁-Ⅱ, L-SAM 등 미사일방어 시스템, 드론과 AI 결합 신무기, 막강한 예비군 동원력과 한미연합 작전능력 역시 경쟁력을 뒷받침한다.

GFP 평가의 한계와 실제 위협
GFP의 평가지표는 재래식 전력에 초점을 맞추지만, 현실에서는 핵무기, ICBM, 사이버전력 등 비대칭 자산의 위협이 크다. 북한 등 일부 국가는 실제로 핵 및 미사일 자산을 활용한 위협이 막대함에도 불구하고 순위상으로는 낮게 평가된다. 한국은 첨단기술력, 글로벌 동맹, 자주국방 역량을 겸비해 미래 군사환경에서도 경쟁우위를 유지할 것으로 평가받는다.

미래 군사강국으로의 전망
영국, 프랑스, 일본 등 모든 전통 강국을 제치고 미국·러시아·중국·인도만이 앞서는 대한민국의 군사력은 방산혁신, 첨단 자산, 동맹네트워크의 복합적 결과다. 앞으로도 군사적 경쟁력과 무기 개발, 방산 수출 등을 통해 대한민국은 ‘글로벌 군사강국’의 이미지를 더욱 확실하게 다질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