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철 더위를 이유로 속옷만 입거나 아예 옷을 벗고 자는 사람들이 많다. 피부가 공기에 직접 닿으니 체온이 더 빨리 내려가 시원하게 잘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런 습관이 숙면을 방해하고 건강에도 악영향을 준다.
수면 중 체온 조절은 단순히 시원함을 넘어서 깊은 잠에 드는 중요한 조건이기 때문이다. 옷을 벗고 자는 것이 불리한 이유는 체온 조절 과정에서 나타난다.

체온 조절이 더 어려워진다
사람은 잠들기 전 체온이 내려가야 깊은 수면에 들어갈 수 있다. 얇은 잠옷은 땀을 흡수하고 체온이 급격히 변하는 것을 완충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옷을 입지 않으면 땀이 피부에 그대로 맺혀 증발하면서 체온이 과도하게 떨어질 수 있다.

반대로 한밤중에 기온이 내려가면 체온 유지가 어려워져 자주 깨거나 숙면을 방해한다. 즉, 옷을 벗는 것은 단순히 시원해 보이지만 오히려 체온 균형을 무너뜨리는 행동이다.

위생과 피부 건강의 문제
옷은 단순히 체온 조절뿐 아니라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옷을 입지 않고 자면 침구와 피부가 직접 접촉해 세균이나 먼지 진드기에 노출된다. 이는 피부 트러블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땀으로 젖은 피부는 세균 번식이 쉽기 때문에 피부염이나 가려움 같은 문제가 더 잘 생긴다. 잠옷은 이런 불편을 줄여주는 보호막 역할을 한다.

숙면의 질을 떨어뜨리는 요인
숙면을 위해서는 신체적 안정감과 심리적 안정감이 동시에 필요하다. 옷을 입지 않고 자면 체온 변동뿐 아니라 작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이로 인해 깊은 수면 단계로 들어가기 어렵고, 자주 뒤척이게 된다.
반대로 통풍이 잘되고 몸을 압박하지 않는 면 소재의 잠옷을 입으면 체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수면의 질이 높아진다.

건강하게 잘 수 있는 올바른 방법
숙면을 원한다면 옷을 벗는 대신, 가볍고 통기성이 좋은 잠옷을 입는 것이 가장 좋다. 또한 침실 온도를 24~26도로 유지하고, 습도를 조절해 쾌적한 환경을 만드는 것이 효과적이다.
땀이 많은 사람이라면 여벌 잠옷을 준비해 중간에 갈아입는 것도 도움이 된다. 결국 숙면을 방해하는 것은 ‘더위’가 아니라 잘못된 습관이다. 여름철이라도 옷을 입고 자는 것이 오히려 건강을 지키고 숙면으로 이끄는 길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