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YFQ‑42A 첫 비행 성공으로 유·무인 체계 본격화
미국 공군이 6세대 전투기 F‑47과 함께 운영할 협동 전투 무인기, 이른바 Collaborative Combat Aircraft(CCA) 프로그램의 첫 성과가 공개됐다.

제너럴 아토믹스(General Atomics)가 개발한 YFQ‑42A가 첫 비행에 성공하며 유·무인 공중 전투 체계에 속도를 붙였다. 이 무인기는 “개념에서 비행까지 1년 초과로 구현된 기록,”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신기술 시험에 성공했다.

F‑47과 함께 비행할 무인 전투기, CCA의 실전 진입
미국은 F‑22, F‑35를 넘어설 6세대 전투기 F‑47을 중심 플랫폼으로 유·무인 팀업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F‑47은 인간 기장과 AI 무인기가 복합팀을 이루어 전장을 주도할 혁신적 전력으로 설계되었다. YFQ‑42A는 이 전략’s 실전화 초석으로, 반자동 전투 임무 수행 능력과 유연한 생산 효과성을 갖춘 무인 전투기다.

1,000대 이상 생산 계획, 대규모 전력화 목표
미 공군은 현재의 Increment 1 단계를 넘어 2026 회계연도 예산안에 CCA 무인기 100~150대 시제품 생산 계획을 반영 중이다. 이후 반복 개량과 추가 주문을 통해 초기 목표인 1,000대 이상 대량 생산을 실현하려는 구조다. 이는 전투기의 공중 전투 효율성을 유지하면서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적 전력 구조라는 평가다.

신속한 개발과 자율 비행 능력 확보
YFQ‑42A는 약 1년 조금 넘는 기간에 콘셉트에서 실전 비행까지 빠르게 진입한 사례로, 혁신적 획득 방식과 기술 협력이 빚어낸 결과다.

고성능의 자율비행 시스템은 모델 기반 디지털 엔지니어링과 과거 MQ‑20 Avenger 실험을 기반으로 개발된 인공지능 기술 기반이다. 이러한 속도와 실용 기술 결합은 전투기 체계 혁신의 새로운 모델로 불린다.

한국도 곧 유·무인 복합 체계 실험 착수
미국의 유·무인 연합체계에 자극받은 한국 역시, 연내 무인 편대기 시험 비행에 착수할 예정이다. 국내는 KF‑21을 중심으로 NACS 3단계 전략을 바탕으로, 유·무인 복합 체계 실현을 준비 중이다. 올해 시험비행 완료 후 내년 KF‑21과의 편대 비행 테스트로 이어질 전망이며, 2030년대 실제 전투 운용 가능한 시스템을 완성하는 것이 최종 목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