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인 티 내지 마라”…자국민 중국 여행에 ‘공개 경계령’ 내린 일본의 현실
중국 내 일본인 대상 범죄가 잇따르면서, 일본 정부가 자국민에게 “중국에서 일본인 티를 내지 말라”며 이례적인 경계령을 공개적으로 내렸다. 특히 2024년 9월, 항일전쟁 전승 80주년을 맞아 중국에서 반일 감정이 더욱 고조될 가능성이 커지자 일본 외무성·주중대사관이 행동 수칙까지 구체적으로 공지한 것이다.

일본 정부의 경계령 언어·복장·모임까지 금지 지침
주중 일본대사관은 “역사 관련 기념일에는 중국의 반일감정이 크게 고조될 수 있다”며 ▲ 일본어 사용 자제 ▲ 일본풍 복장 삼가 ▲ 일본인 모이는 시설·상가·식당 방문 최대한 피하기 ▲ 일본임을 드러내는 소지품 휴대 금지 ▲ 수상한 사람/집단을 보면 즉시 그 장소를 이탈할 것 등을 공식 권고했다. 또한 어린이 동반 가족에게는 각별한 주의와 사전 대비를 강조했다.
이같이 구체적이고 엄격한 공지 뒤에는, 최근 중국 내에서 발생한 일본인 대상 흉기 범죄가 잇달았던 심각한 현실이 있다.

연이은 반일범죄 초등생 피살, 스쿨버스 공격 등
2023년 9월 선전시 일본인학교 앞에서 10살 일본인 초등학생이 중국인 남성에게 칼에 찔려 사망한 사건은 일본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다. 범인에게는 사형이 집행됐지만, 시기가 만주사변 기념일(9월 18일)과 항일 전승절(9월 3일) 사이여서 반일감정이 극대화된 시점이었다.
같은 해 6월 장쑤성 쑤저우에서는 또 다른 남성이 일본인학교 스쿨버스를 공격하여 일본인 모자가 부상했고, 7월 말에는 돌로 일본인 모녀를 때린 사건도 일어났다. 이런 일련의 범죄로 일본계 기업들은 근무자 일시 귀국 조치까지 시행했고, 일본 외무성은 등·하교 시간대 경비 인력 강화에 나섰다.

일본 교민 사회의 불안 학생·직원 감소, 방범 강화
로이터 등에 따르면, 각종 사건 여파로 2024년 봄 중국 내 11개 일본인학교 학생 수는 전년 대비 11% 감소했다. 일본 정부는 중국 내 일본대상 범죄 위험을 공식화하며, 경찰파견·경비 강화 등에 예산도 대폭 투입했다. 그럼에도 일본인 가족과 거주자들의 불안은 쉽게 잦아들지 않고 있다.

‘티 내지 말라’ 경계령 긴장 고조된 한·중·일 관계의 현주소
항일전쟁 및 전승절 등 역사기념일에는 중국 내 반일 정서가 극단적으로 고조되며, 실제 폭력사건까지 번지고 있다. 일본 정부의 “티 내지 말라”는 공개 경계령은 단순한 안내가 아니라, 자국민을 향한 사실상 생존지침이다. 최근 일본 교민사회 인구 감소, 방범 강화, 기업 인력 귀국 등에서 보듯, 동북아 정세의 민감한 단면이 드러난 셈이다. 앞으로도 이런 공지가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현지 분석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