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거 민원 100건” 창원시가 344억 들여 지었다가 흉물로 남은 ‘빅트리’
🌳 창원의 상징이라던 ‘빅트리’, 흉물 논란으로 번져
창원시가 344억 원을 들여 성산구 대상공원에 조성한 초대형 건축물 ‘빅트리’가 시민들 사이에서 흉물 논란에 휩싸였다. 당초 창원의 랜드마크로 조성한다는 계획이었지만, 실제 외형은 설계 당시와 크게 달라졌고 상징성마저 부족하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 민간공원 특례사업으로 탄생한 40m 건축물
빅트리는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으로 지어졌다. 민간 사업자가 대상공원 면적의 87.3%에 빅트리와 공원 시설을 조성해 창원시에 기부채납하고, 나머지 12.7%에 아파트 등을 지어 수익을 얻는 방식이다. 건물 높이는 40m, 전망대에서는 창원 시내를 내려다볼 수 있다. 그러나 안전 문제로 꼭대기에 세우려던 20m 인공나무 설치가 취소되면서 전체 모양은 설계와 크게 달라졌다.

👀 시민 반응 “상징성도 없고 흉하다”
문제는 완공 시점이 다가오면서 불거졌다. 시민들 사이에서는 “너무 흉물스럽다”, “차라리 철거해야 한다”는 민원이 잇따르고 있다. 실제로 철거 민원이 100건 가까이 접수되었고, 시의회조차 “도시 미관을 해치고 상징성도 없다”며 대책을 요구했다. 결국 창원시는 임시 개방을 통해 시민 의견을 수렴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했다.

🚌 임시 개방으로 여론 수렴 돌입
창원시는 8월 4일부터 17일까지 빅트리를 임시 개방한다. 하루 4차례 관람 기회를 제공하며, 첫 주는 단체 관람 위주로, 이후엔 개인 관람으로 진행한다. 방문자센터에서 셔틀버스도 운영해 접근성을 높인다. 수집된 의견을 반영해 내부 시설은 단기적으로, 외형 개선은 장기적으로 보완할 계획이다. 그러나 정식 개관일인 10월 1일은 연기될 가능성이 크다.

🏛 또 다른 논란,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창원시가 최근 임시 개관한 353억 원 규모의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역시 비판을 받고 있다. 3·15의거와 4·19혁명, 부마항쟁 등 민주화 운동을 기념하기 위해 추진됐으나, 전시물이 지나치게 빈약해 개관 당일부터 “부끄럽다”는 혹평이 이어졌다. 민주화운동 단체들이 항의 기자회견까지 열자 창원시는 정식 개관을 무기한 연기했다.

📌 핵심 정리
1 창원시, 344억 들여 지은 ‘빅트리’ 흉물 논란 확산
2 시민 철거 민원 100건 이상 접수, 시의회도 비판 가세
3 8월 임시 개방으로 시민 의견 수렴, 10월 정식 개관은 불투명
4 민주주의전당도 부실 전시 논란으로 개관 연기
5 창원시 대형 프로젝트 잇단 실패로 행정 불신 심화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