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국민 3명중 1명, ‘5년 이내에 한국을 떠나 해외에 거주할 의향 있어’

위메이크뉴스 조회수  

18세 이상 한국인 1500여 명을 대상으로 해외 이주 의향 및 국내 생활의 만족도에 대한 설문 조사에서 424명이 5년 이내에 해외에 이주하고 싶다고 답변했다. 

airport-4120835_640.jpg
사진=픽사베이

특히 Z세대가 38.05%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중에서도 43.43%는 해외 장기 거주 의사가 있다고 답했으며, 44.25%는 시간이 지날수록 해외 이주에 대한 욕구가 증가한다고 밝혔다.

해외 이주의 주요 목적은 ‘직업을 위해서’가 전체의 39.96%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25%의 응답자가 ‘워킹 홀리데이’라고 답변했고, 그 뒤를 이어 ‘학업을 위해서’가 19.52%의 응답률을 보였다.

해외로 이주하고 싶은 이유는 다양했지만, 특히 남성(30.22%)의 답변이 여성(23.03%)에 비해 우세했던 항목으로는 ‘매력적인 임금 때문에’가 있었고, 반대로 여성 비율(34.27%)이 남성 비율(28.42%)보다 높았던 답변으로는 ‘직업 기회나 경력 향상을 위해서’가 있었다. Z세대의 경우 다른 세대보다 ‘해외에서의 거주가 개인적인 자유를 보장해 줄 것’이라는 기대가 높았다.

이들이 한국을 떠나고 싶어 하는 주요한 요인으로는 ‘불안정한 경제 상황’(32.89%), ‘낮은 임금’(25%)과 같은 경제적 상황에 대한 불만족이 각각 1위와 4위를 차지했다. 또한 ‘불평등한 사회’(28.73%), ‘정치적 불신’(28.29%), ‘성과지향적 사회’(24.56%) 등이 높은 순위에 올라 정치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불만족 역시 한국을 떠나고 싶은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성별 응답에 따르면 남성은 ‘정치적 불신’이 32.01%로 가장 높았던 것과 달리 여성은 ‘경제적 불안정성’(36.52%)과 ‘낮은 임금’(29.78%)이 가장 높은 순위에 나란히 올라 경제적 요인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보여줬다.

2077533314_20240926103035_9179605212.jpg
프레플리가 조사한 이주하고 싶은 국가 순위표

뿐만 아니라 이들이 해외 이주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소셜 미디어’(46.05%)로 나타났고, ‘뉴스’(35.53%)가 그 뒤를 이었다. ‘가족’(34.21%)이나 ‘친구’(32.46%) 또한 해외 이주를 고려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었다. 그 외에도 ‘셀러브리티 및 인플루언서’(23.25%), ‘영화’(17.32%) 등이 해외 이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꼽혔다.

이주하고 싶은 국가로는 미국(35.53%)과 호주(32.02%), 캐나다(30.26%), 뉴질랜드(20.83%), 영국(12.06%)과 같은 영미권 국가들이 차례대로 1위부터 4위, 7위로 꼽혔다. 그 뒤를 이어 일본(23.58%), 싱가포르(14.91%), 베트남(9.87%), 필리핀(7.24%)과 같은 아시아권 국가들이 순위에 올랐다. 유럽에서는 독일이 12.06%로 영국과 나란히 7위에 오르며 순위에 포함됐다.

이주하고 싶은 국가를 고르는 주요한 기준 지표로는 ‘삶의 질’이 28.51%로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교육 및 생활비’(14.04%), ‘문화적 경험’(12.28%)이 높은 답변율을 보였다. ‘문화 적합성’ 지표에 대해 여성의 경우에는 15.17%가 택한 반면, 남성은 9.71%만이 답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해외에 거주하는 것의 장점과 기대하는 점으로는 과반이 넘는 응답자가 ‘다양한 경험’(62.94%)을 택했다. 뒤를 이어 ‘유창한 외국어 실력’(41.23%)과 ‘재정 안정성’(31.36%)이 2위와 3위에 올랐고, ‘더 나은 교육’(28.63%)과 ‘안전’(23.9%) 또한 해외 거주의 장점으로 꼽혔다.

반대로 해외 거주 시 단점과 우려되는 점에 대해서는 ‘언어 및 문화 차이’가 39.91%로 가장 높았다. ‘공공안전’(38.60%)이나 ‘차별’(34.21%), ‘정부 정책’(21.05%), ‘사회적 인프라’(18.86%)가 뒤를 이어 정치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우려 역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한국에서의 생활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 73.07%의 응답자가 국내 생활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8.76%의 Z세대가 한국 생활에 만족한다고 답변한 반면, X세대는 69.15%로 전 세대를 통틀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한국에서의 삶이 만족스러운 이유로는 건강과 안전 관련 항목의 답변 비율이 높았다. ‘헬스케어 및 보험 시스템’이 80.65%로 1위로 꼽혔으며, 뒤를 이어 ‘공공 안전’이 71.34%로 2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공공 안전’에 대한 여성의 만족도는 66.56%로 남성(74.9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반면 ‘재정 안정성’(37.63%)이나 ‘취업 기회’(37.23%)와 같은 경제적 요인은 가장 낮은 선택률을 보이며 최하위의 만족도 요인으로 작용했다.

관련 기사

author-img
위메이크뉴스
CP-2022-0027@fastviewkorea.com

[AI 추천] 랭킹 뉴스

  • 유리벽 사이에 두고 꼬마 아이랑 숨바꼭질 놀이하며 교감하는 중인 호랑이
  • 고장난 탓에 전원 꺼져버린 관광 차량 본 호랑이가 갑자기 뒷범퍼 깨문 이유
  • 아주대병원, 최첨단 단일공 수술 로봇 ‘다빈치 SP 시스템’ 도입
  • 노란색으로 몸에 웃는 모양의 이모티콘이 새겨져 있다는 구렁이의 놀라운 몸값
  • 평택항 산재사망 청년 유족, '전태일의료센터' 건립기금 1천만 원 전달
  • 소파 위 올려진 충전기 선에 자리잡고 앉아서 충전(?) 중인 '이해불가' 고양이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이거 사려고 시·도를 넘어 찾아왔다! 줄 서는 닭강정 맛집 5
    이거 사려고 시·도를 넘어 찾아왔다! 줄 서는 닭강정 맛집 5
  • 바삭한 튀김옷과 달콤새콤한 소스에서 특별한 맛이? 탕수육 맛집 5
    바삭한 튀김옷과 달콤새콤한 소스에서 특별한 맛이? 탕수육 맛집 5
  • 광활한 풍경에 가슴속까지 탁 트이는 한강뷰 맛집 4
    광활한 풍경에 가슴속까지 탁 트이는 한강뷰 맛집 4
  • 저렴하면서 맛까지 보장되는 곳, 기사식당 맛집 5
    저렴하면서 맛까지 보장되는 곳, 기사식당 맛집 5
  • 차에 냄새 밴다고요? 탈취의 진짜 방법 공개
    차에 냄새 밴다고요? 탈취의 진짜 방법 공개
  • 음주운전 동승자도 처벌? 모르면 억울하게 걸릴 수도
    음주운전 동승자도 처벌? 모르면 억울하게 걸릴 수도
  • 차보다 ‘운전면허’가 더 비싸질 수도 있다?
    차보다 ‘운전면허’가 더 비싸질 수도 있다?
  • “연예인 차 하면 카니발?”…왜 스타들은 이 차에 꽂혔을까?
    “연예인 차 하면 카니발?”…왜 스타들은 이 차에 꽂혔을까?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이거 사려고 시·도를 넘어 찾아왔다! 줄 서는 닭강정 맛집 5
    이거 사려고 시·도를 넘어 찾아왔다! 줄 서는 닭강정 맛집 5
  • 바삭한 튀김옷과 달콤새콤한 소스에서 특별한 맛이? 탕수육 맛집 5
    바삭한 튀김옷과 달콤새콤한 소스에서 특별한 맛이? 탕수육 맛집 5
  • 광활한 풍경에 가슴속까지 탁 트이는 한강뷰 맛집 4
    광활한 풍경에 가슴속까지 탁 트이는 한강뷰 맛집 4
  • 저렴하면서 맛까지 보장되는 곳, 기사식당 맛집 5
    저렴하면서 맛까지 보장되는 곳, 기사식당 맛집 5
  • 차에 냄새 밴다고요? 탈취의 진짜 방법 공개
    차에 냄새 밴다고요? 탈취의 진짜 방법 공개
  • 음주운전 동승자도 처벌? 모르면 억울하게 걸릴 수도
    음주운전 동승자도 처벌? 모르면 억울하게 걸릴 수도
  • 차보다 ‘운전면허’가 더 비싸질 수도 있다?
    차보다 ‘운전면허’가 더 비싸질 수도 있다?
  • “연예인 차 하면 카니발?”…왜 스타들은 이 차에 꽂혔을까?
    “연예인 차 하면 카니발?”…왜 스타들은 이 차에 꽂혔을까?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