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환경부, 일회용 컵 유료화 방안 검토”

위메이크뉴스 조회수  

환경부가 카페에서 일회용 컵을 유료화하는 방안을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Screenshot 2024-10-10 at 07.24.19.JPG
일회용컵. 사진=픽사베이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확보한 환경부 내부 문건에는일회용 컵 무상제공을 금지 방안이 검토됐던 것으로 파악됐다.

문건에는 일회용 컵 판매수익은 일회용 컵 배출·회수 비용으로 사용하거나, 텀블러를 이용한 고객에게 혜택으로 주도록 강제하거나 권고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환경부는 일회용 컵 무상제공 금지 시 초기 소비자 반발이 예상되지만, 제한적일 것이고 일회용 컵 사용량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아울러 ‘환경정책 후퇴’라는 비판을 상쇄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공공기관 일회용품 줄이기 규정’을 개정해 기관장 재량으로 기관 내 일회용 컵 반입 또는 판매를 금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문건에 포함됐다.

일회용품 규제는 크게 ‘사용금지’와 ‘무상제공 금지’로 나눠진다. 일회용 봉투와 쇼핑백의 경우 매장 면적 33㎡ 초과 도소매업에서는 ‘무상제공 금지’여서 유상으로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편의점과 같은 종합소매업에서는 ‘사용금지’여서 원칙적으로 제공이 불가능하다.

강 의원이 확보한 환경부 내부 문건에 따르면 환경부는 일회용 컵 무상제공을 금지할 경우 일회용 컵 보증금제는 ‘지방자치단체나 민간 자율’로 시행할 수 있게 바꿀 계획이다.

제주도처럼 보증금제 시행에 의지를 가진 지역과 일회용 컵 사용량이 많은 야구장과 놀이공원 등 대형 민간 시설에 제도를 도입해 연착륙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일회용 컵 보증금제는 카페에서 일회용 컵에 음료를 받으려면 보증금 300원을 내도록 하고 컵을 반납하면 돌려주는 제도다. 애초 전국에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환경부가 ‘소상공인 부담’을 이유로 재작년 12월 제주와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축소 시행했다.

작년 11월 환경부가 식당과 카페 등에서 일회용 종이컵 사용을 금지하려는 조처를 철회하는 등 일회용품 규제를 완화하고, 보증금제 전국 확대 계획을 내놓지 않으면서 이행 동력이 떨어진 상황이다.

일회용 컵 보증금제 매장 참여율은 한때 제주 94.6%, 세종 64.9%에 달했으나, 현재 44.8%와 31.3%로 떨어졌다.

컵 반환율은 세종과 제주에서 각각 최고 48.1%와 78.3%까지 올랐다가 현재 48.1%와 54.2%로 고꾸라진 상황이다.

제주와 세종에서 일회용 컵 보증금제를 시행하는 데 현재까지 23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이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일회용 컵 보증금제를 포기하지 않았다”며 “소비자와 소상공인이 제도를 이행하기 어렵게 설계돼, 수용성 높은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현재 방식으로 전국에 확대하면 소상공인 부담이 1천억원이 넘는다”며 “수용성이 부족하기에 전국에 강제하기 어렵다는 것이지 할 수 있는 지역까지 하지 말자는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일회용 컵 무상제공 금지와 관련해서는 “종국적인 방향일지는 모르겠으나 당장 할 수는 없다”며 “여러 대안 중 하나로 나왔지만 당장은 하지 않기로 결정 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강 의원이 확보한 환경부 내부 문건엔 ‘우군화 가능성이 확인된 그룹을 활용’, ‘보증금제 선도지역(제주와 세종) 성과 분석과 대안 마련은 환경부가 주도하고 결과는 10월 말 토론회를 열어 학계 전문가를 활용해 공개’ 등의 추진전략도 제시됐다.

‘자원순환시민연대가 대안에 대해 지지를 표명하도록 유도’, ‘언론 기획 기사로 현행 제도 문제점과 해외사례·대안 제시’ 등의 계획도 담겼다.

강 의원은 “환경부가 학계·업계·환경단체·언론을 통해 여론을 조성하려는 ‘공작’을 준비했다”며 “보증금제가 정부가 지원해 일회용 컵 사용량을 줄이고 재활용하는 방안이라면, 무상제공 금지는 국민에 부담을 지우는 방식”이라고 지적했다.

관련 기사

author-img
위메이크뉴스
CP-2022-0027@fastviewkorea.com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얼굴에 철판"...복귀 준비하는 일드 여왕
  • 한국의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이 ''자기네 나라 꺼라고 주장하는'' 이 나라
  • 5년간 가족처럼 키우던 반려견 버리면 '500만원' 주겠다는 시어머니
  • 왈츠에 맞춰 상어와 우아하게 춤추는 다이버의 '충격적 진실'
  • 비타민C 계속 먹고 계시죠? 그런데 '이 증상' 생기면 중단해야 합니다
  • 수건 냄새, 섬유유연제 말고 "이것" 써 보세요! 효과 100배 좋습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삼촌과 조카 뻘인데 17살 차의 연인이 된 같은 소속사 선후배 남녀 배우
    삼촌과 조카 뻘인데 17살 차의 연인이 된 같은 소속사 선후배 남녀 배우
  • 신세계백화점 폭파 협박글 남긴 중학생이 신세계 그룹에 입힌 피해액이…
    신세계백화점 폭파 협박글 남긴 중학생이 신세계 그룹에 입힌 피해액이…
  • 인터뷰 중인 전광훈에게 “빤스 목사!” 라고 외쳤더니, 전광훈 반응이…
    인터뷰 중인 전광훈에게 “빤스 목사!” 라고 외쳤더니, 전광훈 반응이…
  • 李에게 혼나서 사장까지 교체했는데…일거리 사라지게 생긴 대기업 근황
    李에게 혼나서 사장까지 교체했는데…일거리 사라지게 생긴 대기업 근황
  • “독일 전기차는 BMW가 답” 최대 509km 주행 뉴 iX 페이스리프트 출시
    “독일 전기차는 BMW가 답” 최대 509km 주행 뉴 iX 페이스리프트 출시
  • ‘토요타 랜드크루저’ 작년 한 해 10만대 판매 달성… 국내 출시 가능성은?
    ‘토요타 랜드크루저’ 작년 한 해 10만대 판매 달성… 국내 출시 가능성은?
  • “이제 사고 싶어도 못 산다!” 국산 디젤차 사실상 멸종… 쏘렌토가 유일
    “이제 사고 싶어도 못 산다!” 국산 디젤차 사실상 멸종… 쏘렌토가 유일
  • “모하비 후속 나오나?” 기아, 타스만 기반 바디 온 프레임 SUV 개발 착수!
    “모하비 후속 나오나?” 기아, 타스만 기반 바디 온 프레임 SUV 개발 착수!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삼촌과 조카 뻘인데 17살 차의 연인이 된 같은 소속사 선후배 남녀 배우
    삼촌과 조카 뻘인데 17살 차의 연인이 된 같은 소속사 선후배 남녀 배우
  • 신세계백화점 폭파 협박글 남긴 중학생이 신세계 그룹에 입힌 피해액이…
    신세계백화점 폭파 협박글 남긴 중학생이 신세계 그룹에 입힌 피해액이…
  • 인터뷰 중인 전광훈에게 “빤스 목사!” 라고 외쳤더니, 전광훈 반응이…
    인터뷰 중인 전광훈에게 “빤스 목사!” 라고 외쳤더니, 전광훈 반응이…
  • 李에게 혼나서 사장까지 교체했는데…일거리 사라지게 생긴 대기업 근황
    李에게 혼나서 사장까지 교체했는데…일거리 사라지게 생긴 대기업 근황
  • “독일 전기차는 BMW가 답” 최대 509km 주행 뉴 iX 페이스리프트 출시
    “독일 전기차는 BMW가 답” 최대 509km 주행 뉴 iX 페이스리프트 출시
  • ‘토요타 랜드크루저’ 작년 한 해 10만대 판매 달성… 국내 출시 가능성은?
    ‘토요타 랜드크루저’ 작년 한 해 10만대 판매 달성… 국내 출시 가능성은?
  • “이제 사고 싶어도 못 산다!” 국산 디젤차 사실상 멸종… 쏘렌토가 유일
    “이제 사고 싶어도 못 산다!” 국산 디젤차 사실상 멸종… 쏘렌토가 유일
  • “모하비 후속 나오나?” 기아, 타스만 기반 바디 온 프레임 SUV 개발 착수!
    “모하비 후속 나오나?” 기아, 타스만 기반 바디 온 프레임 SUV 개발 착수!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