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약을 먹으면
왜 졸릴까?


감기약을 먹으면 졸음이 오는 증상을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수면제를 먹은 것도 아닌데,
왜 잠이 오는 것일까?

감기약을 먹으면 졸린 이유는
바로 ‘항히스타민제’라는 성분 때문이다.
이 성분은 알레르기 증상을 억제하는 약물로
감기 증상인 콧물과 재채기 완화에 사용된다.

항히스타민제가 억제하는 히스타민이란
생리작용을 조절하고 신경전달물질로도 작용하는 단백질로
과도하게 활성화 되면 자가 면역 반응으로 재채기, 눈물이 나고
상기도에 염증을 만들어 감기를 일으킨다.

그럼 왜 졸음이 오는 것일까?
바로 이 항히스타민제가 뇌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히스타민이 뇌에서 신경전달을 조절해
정신이 맑아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항히스타민제가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하여
신경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졸음이 생기는 것이다.

최근에는 뇌로 들어가지 않는 항히스타민제가 개발되어
졸음을 유발하지 않는 약도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