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자” 이렇게 조리하면 발암물질 나옵니다. 절대 따라하지 마세요
감자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친숙한 식재료입니다.
찌고, 굽고, 볶고, 튀기고, 다양한 조리법으로 식탁에 오르는 감자는 영양도 풍부하고 활용도도 높아 흔히 ‘착한 탄수화물’로 불리곤 합니다.
하지만 한 가지 조리 방법을 잘못 선택하면, 감자 속에서 발암물질이 생성되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건강을 챙기려는 식습관이 오히려 병을 부르는 경우도 있다는 사실, 오늘 꼭 짚고 넘어가셔야 합니다.
중심 음식: 감자
감자는 비타민 C, 칼륨, 식이섬유가 풍부한 건강한 식재료입니다.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고, 포만감을 주어 체중 관리에도 유리한 채소 중 하나죠.
하지만 잘못된 조리 방식 하나가 모든 영양을 무력화시키고, 발암물질인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를 생성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아크릴아마이드란 무엇인가요?
아크릴아마이드는 감자나 곡류처럼 전분이 많은 식품을 120℃ 이상의 고온에서 조리할 때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화학물질입니다.
특히 기름에 튀기거나, 바삭하게 굽는 조리법에서 이 물질이 다량 생성됩니다.
이 물질은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인간에게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Group 2A)’로 분류되었습니다.
동물 실험에서는 신경독성, 유전독성, 생식기능 저하 등 유해 영향이 확인되었으며,
장기 노출 시 신경계 질환이나 각종 암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즉, 감자 자체는 건강한 식품이지만, 튀기거나 갈색이 나도록 과도하게 굽는 방식은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어떤 조리법에서 아크릴아마이드가 많이 나올까요?

1. 감자튀김
감자 요리 중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방식은 감자튀김입니다.
170℃ 이상의 온도에서 바삭하게 튀기는 과정에서 아미노산과 당이 반응하여 아크릴아마이드가 생성됩니다.
감자튀김은 갈색이 짙을수록 아크릴아마이드 농도가 높아집니다.
특히 패스트푸드점이나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기성 감자튀김은 제조 공정상 아크릴아마이드가 다량 포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감자칩
얇게 썬 감자를 기름에 바싹 튀긴 감자칩 역시 고온 조리 과정에서 많은 양의 아크릴아마이드가 발생합니다.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감자칩의 경우 제품 1g당 최대 400μg 이상의 아크릴아마이드가 검출된 사례도 있습니다.
이는 WHO가 권고하는 하루 노출 허용량을 단 한 봉지로 초과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3. 에어프라이어 감자구이
최근 건강하게 먹고자 에어프라이어로 감자를 구워 드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조리 시간이 길거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아크릴아마이드 생성은 오히려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겉면이 바삭하게 갈색으로 탈 때까지 구우면 이 물질이 급증합니다.
“겉은 바삭하고 속은 부드러운 감자”는 맛은 좋지만 췌장, 간, 신장에 해로운 물질을 동시에 섭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감자는 어떻게 조리해야 안전할까요?
✅삶기 또는 찌기 방식 선택하기
가장 안전한 조리 방법은 ‘삶기’ 또는 ‘찜’입니다. 100℃ 이하의 열에서 조리하기 때문에 아크릴아마이드 생성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수분이 많은 조리 환경에서는 당과 아미노산이 고온에서 반응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감자조림처럼 국물이 자작하게 있는 요리는 상대적으로 안전
감자샐러드용 삶은 감자도 매우 안전한 선택입니다
✅갈색이 나기 전 중간 단계에서 조리 마무리하기
겉이 갈색으로 타기 전에 조리를 멈추는 것도 중요합니다. 노릇한 색이 강해질수록 아크릴아마이드 농도도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튀기거나 구울 경우 색깔이 진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에어프라이어를 사용할 경우 조리 온도를 160℃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분 제거 후 조리하기
감자를 얇게 썬 뒤 찬물에 10분 이상 담가 전분기를 제거한 후 조리하면, 아크릴아마이드 생성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전분은 당분으로 변환되어 아크릴아마이드 생성의 주성분이 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면 조리 중 유해물질 발생도 줄어듭니다.

감자를 건강하게 즐기기 위한 TIP ✅
✅감자는 튀기지 말고 삶거나 찌는 방식으로 섭취하기
✅에어프라이어 조리는 온도와 시간을 낮추고, 너무 바삭하게 만들지 않기
✅전분 제거를 위해 찬물에 담가 헹구는 과정 추가하기
✅색이 진한 감자칩, 튀김류는 가급적 피하고 자주 먹지 않기
✅감자 껍질이 푸르거나 싹이 난 것은 독성 물질(솔라닌) 존재 가능성 있으니 반드시 제거하기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건강식’이 때론 해로울 수도 있습니다 감자는 우리가 믿고 먹는 대표적인 건강한 식품입니다.
하지만 조리 방법에 따라 발암물질이 생성되고, 전혀 의도치 않은 건강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은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어떻게 먹느냐’는 ‘무엇을 먹느냐’만큼이나 중요합니다.
같은 감자라도 삶아 먹느냐, 튀겨 먹느냐에 따라 췌장, 간, 신장에 주는 부담이 전혀 다르니까요.
오늘 저녁 감자를 조리하신다면, 조금 덜 바삭하더라도 건강을 위한 조리법을 선택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잘못된 습관은 병을 만들지만, 올바른 조리법은 건강을 지켜줍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