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치, 마늘장아찌, 생선조림 같은 강한 냄새의 반찬을 보관한 플라스틱 용기는 아무리 세제로 씻어도 냄새가 쉽게 빠지지 않는다. 뚜껑을 열었을 때 확 올라오는 그 불쾌한 냄새 때문에 용기를 버리려는 사람들도 많다.
하지만 단순한 물세척이나 베이킹소다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럴 때 ‘끓인 소금물’을 활용하면 효과적으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비용도 거의 들지 않고 시간만 조금 투자하면 새 용기처럼 만들 수 있다. 반복적으로 쓸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이다

소금물로 냄새를 없애는 원리
소금물은 살균과 탈취 능력이 뛰어난 대표적인 천연 세정제다. 특히 고온의 끓인 소금물은 플라스틱 안에 깊숙이 밴 유기성 냄새 분자들을 분해하고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끓이면서 수증기와 함께 소금이 벽면에 작용해 탈취 과정을 도와주는 것이다.
식초처럼 강한 산 성분 없이도 냄새를 잡을 수 있어 재질 손상 우려도 적다. 플라스틱 용기에 민감한 사람들에게도 부담 없는 방법이다

방법은 간단하지만 효과는 확실하다
끓는 물에 굵은 소금을 두세 스푼 정도 넣고 잘 녹인 후, 그 물을 냄새가 나는 용기에 붓기만 하면 된다. 뚜껑을 덮지 않은 상태로 1시간 정도 그대로 두면 냄새 입자가 자연스럽게 분해되고 빠져나간다.
시간이 다 된 후 깨끗하게 헹구기만 해도 찌든 냄새는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심한 냄새가 배었을 경우에는 한 번 더 반복하면 충분하다. 별다른 세제나 도구 없이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유리, 플라스틱 모두 가능하다
이 방법은 유리뿐 아니라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소재의 용기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다만 플라스틱의 경우 열에 민감하므로 너무 뜨거운 물을 붓기보다는 살짝 식힌 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색이 배었을 경우에는 베이킹소다와 함께 사용하면 시각적인 효과도 더 좋아진다. 냄새뿐 아니라 살균 효과도 있어 위생적으로도 이점이 많다. 계절이나 음식 종류에 따라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점도 장점이다

지속적으로 활용하는 습관
한 번의 탈취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정기적으로 이 방법을 활용하면 반찬용기의 상태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냄새가 배는 것도 줄어들고, 위생 관리도 훨씬 수월해진다.
주방 환경이 깔끔해지면 요리할 때의 만족도도 높아진다. 일상 속 불편을 줄이는 이런 작은 실천이 오히려 생활의 질을 바꿔주는 큰 변화로 이어진다. 정기적인 소금물 소독은 꼭 습관으로 들일 만한 가치가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