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피로 물든 아파트 공급 안 돼”…’사망사고 건설사’ 명단공개 다시 꺼낸 정부

머니모니 조회수  

정부가 건설현장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할 경우 해당 건설사의 이름과 공사 정보 등을 공개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건설현장 사망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정보공개를 법제화해 건설사의 안전관리 책임을 강화하려는 취지다.

24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2일 국무회의에서 ‘건설기술 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심의·의결하고 23일 국회에 제출했다. 개정안은 국토부 장관이 건설현장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한 경우 해당 건설사의 이름과 공사명, 현장 위치, 사망자 수 등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세부 항목은 대통령령으로 위임된다.

이번 입법 추진은 과거 국토부가 시행했던 ‘사망사고 명단 공개’ 정책과 유사하다. 국토부는 2019년부터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를 대상으로 사망사고 정보를 공개해왔다. 당시 공개된 정보에는 원도급·하도급 시공사명, 사망자 수, 사고일과 사고 유형, 공사명은 물론, 발주청과 지자체까지 포함됐다.

그러나 해당 제도는 법적 근거가 없는 행정 조치 수준에 불과했고 일부 건설사와 법조계에서는 “기업 명예를 침해할 수 있다”는 반발이 이어졌다. 결국 국토부는 2023년 4분기를 마지막으로 명단 공개를 중단했다.

이번 개정안은 해당 제도를 법률에 명시함으로써 명단 공개를 지속 가능하고 제도화된 틀로 전환하려는 시도다. 그 배경에는 여전히 끊이지 않는 건설현장 사망사고가 자리하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3년째를 맞았지만 건설업 사망사고가 뚜렷하게 줄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법 시행 초기였던 2022년 1분기 건설업 사망자는 77명이었고 이후 2023년 65명, 2024년 64명으로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올해 1분기에는 다시 71명으로 늘어났다. 건설업 사망사고 건수도 2022년 1분기 70건에서 올해 63건으로 줄었지만 전반적으로는 뚜렷한 개선세가 없는 제자리걸음 상태다.

본지 자문위원인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는 “시공사 입장에서는 부담이 되기 때문에 반대할 수 있겠지만 이런 조치를 통해 안전을 경영 차원에서 다루도록 유도하는 게 취지”라며 “법제화가 된다면 특히 대형 건설사에는 실효성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건설현장 안전) 제도가 이미 잘 갖춰져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 이행이 되지 않는 게 문제”라며 “ 제도가 현장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이행력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건설업계에선 우려도 제기된다. 명단 공개가 사망사고 발생 즉시 이뤄질 경우, 충분한 조사나 책임 검토 없이 기업이 여론의 비난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사고 발생 당시의 구체적 경위나 책임 소재가 충분히 검토되기도 전에 실명이 먼저 공개되면 낙인효과만 남을 수 있다”며 “예방보다는 정치적 메시지에 가까워질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기사 읽기

관련 기사

author-img
머니모니
CP-2025-0144@fastviewkorea.com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과천은 뛰고 광명은 내리고…올해 수도권 전세가격 희비 커진다
  • "2천만원대로 확 싸졌다"…남자들 심장에 불 지르는 세단의 정체
  • 드디어 실물 포착…신형 투싼 풀체인지, 어떻게 변하나
  • 하라주쿠 팝 마트, 시부야 스크램블 명당 크로싱, 완탕면
  • 밥 짓기 전 "쌀 이렇게 씻으면" 영양소만 날아가고 위장 더 약해집니다
  • 집 거실에다 "이 식물"만 놔둬도 돈이 끝없이 들어옵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여름철 모기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은 ‘섬뜩’한 이유
    여름철 모기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은 ‘섬뜩’한 이유
  • 이게 한국 드라마라고? 1분 예고편으로 美 드라마 능가했다 난리난 신작
    이게 한국 드라마라고? 1분 예고편으로 美 드라마 능가했다 난리난 신작
  • 영국 BBC가 한국이 관세 협상을 잘했다고 극찬한 6가지 이유
    영국 BBC가 한국이 관세 협상을 잘했다고 극찬한 6가지 이유
  • “이시바 왜 그랬어” 한-미 관세 합의 내용을 본 일본인들이 경악한 이유
    “이시바 왜 그랬어” 한-미 관세 합의 내용을 본 일본인들이 경악한 이유
  • “8기통 제네시스 부활하나?” 마그마 레이싱 V8 엔진 첫 시동
    “8기통 제네시스 부활하나?” 마그마 레이싱 V8 엔진 첫 시동
  • “상반기만 17조 손실” 닛산 이어 르노까지… 신규 채용 전면 중단 선언
    “상반기만 17조 손실” 닛산 이어 르노까지… 신규 채용 전면 중단 선언
  • “한국차 무관세 종결” FTA 효과 없어졌다… 현대차·기아 주가 급락!
    “한국차 무관세 종결” FTA 효과 없어졌다… 현대차·기아 주가 급락!
  • “에스컬레이드 뺨치는 2억 SUV 등장” 초대형 6인승 럭셔리 U8L
    “에스컬레이드 뺨치는 2억 SUV 등장” 초대형 6인승 럭셔리 U8L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여름철 모기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은 ‘섬뜩’한 이유
    여름철 모기가 더 이상 보이지 않은 ‘섬뜩’한 이유
  • 이게 한국 드라마라고? 1분 예고편으로 美 드라마 능가했다 난리난 신작
    이게 한국 드라마라고? 1분 예고편으로 美 드라마 능가했다 난리난 신작
  • 영국 BBC가 한국이 관세 협상을 잘했다고 극찬한 6가지 이유
    영국 BBC가 한국이 관세 협상을 잘했다고 극찬한 6가지 이유
  • “이시바 왜 그랬어” 한-미 관세 합의 내용을 본 일본인들이 경악한 이유
    “이시바 왜 그랬어” 한-미 관세 합의 내용을 본 일본인들이 경악한 이유
  • “8기통 제네시스 부활하나?” 마그마 레이싱 V8 엔진 첫 시동
    “8기통 제네시스 부활하나?” 마그마 레이싱 V8 엔진 첫 시동
  • “상반기만 17조 손실” 닛산 이어 르노까지… 신규 채용 전면 중단 선언
    “상반기만 17조 손실” 닛산 이어 르노까지… 신규 채용 전면 중단 선언
  • “한국차 무관세 종결” FTA 효과 없어졌다… 현대차·기아 주가 급락!
    “한국차 무관세 종결” FTA 효과 없어졌다… 현대차·기아 주가 급락!
  • “에스컬레이드 뺨치는 2억 SUV 등장” 초대형 6인승 럭셔리 U8L
    “에스컬레이드 뺨치는 2억 SUV 등장” 초대형 6인승 럭셔리 U8L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