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만 원 ‘훌쩍’ 아파트 월세 속출
초고가 월세 시대에서 살아남기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세가구는 48.1%, 월세가구는 51.9%로 월세로 거주하는 가구의 수가 약간 많았는데, 최근에는 월세로 전환하는 가구가 확연히 늘고 있습니다.
“이러다 정말 전세 사라지겠네”…1000만 원 ‘훌쩍’ 아파트 월세 속출
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8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 전용 244.543㎡(5층)는 보증금 15억 원, 월세 1000만 원에 신규 거래됐다. 올해 들어 월세 900만 원 이상의 신규 거래도 활발하다. 영등포구 여의도동 브라이트여의도 전용 113.96㎡(36층)는 보증금 5억 원, 월세 950만 원에 신규 거래됐다. 서울 대장 아파트를 중심으로 월세 오름폭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출처: 매일경제 백지연 기자, 2025.02.06)
1~2인 가구가 증가하고 고금리 기조에 이어 전세사기 여파가 가시지 않으면서 월세 비율은 더욱 높아질 것이고 서민 주거 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임차인에겐 전세와 월세 중 어떤 게 더 유리할까요?
전월세의 장단점

전세는 보증금과 관리비 외에 추가로 지출되는 돈이 없고 계약기간이 끝나면 목돈인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보증금으로 목돈이 필요하다는 점, 선택할 수 있는 매물이 적으며 깡통전세 부담이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월세는 보증금 부담이 적고 단기간 거주하기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시중은행 금리보다 높은 이율(연 12% 또는 18%)의 임대료를 부담해야 하고 일부 오피스텔에서는 관리비 부담까지 클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오피스텔은 월세의 10%에 해당하는 부가가치세도 부담해야 합니다.
전세의 장점 3줄 요약
– 매달 나가는 돈이 없다
월세처럼 매달 지출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생활비 부담이 적다.
– 장기 거주에 유리하다
보증금을 미리 내놓고 사는 것이므로 계약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다.
– 전세대출 활용 가능
자금이 부족한 경우, 은행에서 전세대출을 받아 보증금을 마련할 수 있다. 대출 이자가 발생하지만, 경우에 따라 월세보다 저렴할 수도 있다.
월세의 장점 3줄 요약
– 초기 비용 부담이 적다
전세에 비해 보증금이 적어, 목돈이 없는 사람도 쉽게 입주할 수 있다.
– 자금 유동성이 높다
전세는 보증금을 집주인에게 맡겨야 하지만, 월세는 상대적으로 적은 보증금만 있으면 되므로 여유 자금을 다른 곳에 투자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 단기 거주에 유리
이사를 자주 해야 하는 경우, 전세보다 계약이 유연할 수 있다.
전세와 월세 중 임차인에게 유리한 것은?

임차인에겐 월세보다 전세가 경제적으로 유리합니다. 임차인이 전세보증금이 부족하여 전세자금대출을 받는다 하더라도 대출이자가 월세보다 많지 않으면월세보다 전세가 유리합니다. 특히, 고물가 시대엔 월세보단 전세가 주거비를 낮출 수 있습니다.
전세와 월세는 각자 장점이 있지만, 전세대출을 활용하는 경우 실질적인 차이가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장기거주에는 전세가 유리하지만 대출이자가 월세 수준이라면, 단순히 “전세가 무조건 유리하다”라고 단정 짓기는 어려울 수 있는데요. 결국, 개인의 자금 사정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

🏡2025 부동산 시장은?
대한민국에서 부동산 공부는 필수🏡
부동산 지식은 쌓을수록 재산!
30만 부동산 초보자가 찾는
★17년 연속 독보적 베스트셀러★
「부동산 상식사전」2025년 개정판 출시!

부동산 상식사전 저자 백영록 출판 길벗 정가 19,800원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