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식약처 홈페이지, ‘지능형 검색 서비스’ 시범 운영 중

헬스라이프헤럴드 조회수  

​상단의 '법령/자료' 메뉴를 클릭해 세부 메뉴 중 '공무원지침서/민원인안내서'로 접근해도 이용할 수 있다. /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식약처 누리집(홈페이지) 메인 상단에 배너가 있다. 현재는 부처 공지사항 배너로도 걸려 있다. /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
​상단의 ‘법령/자료’ 메뉴를 클릭해 세부 메뉴 중 ‘공무원지침서/민원인안내서’로 접근해도 이용할 수 있다. /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식약처 누리집(홈페이지) 메인 상단에 배너가 있다. 현재는 부처 공지사항 배너로도 걸려 있다. /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누리집(홈페이지)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지능형 검색 서비스’를 19일(수)부터 시범 개방했다고 밝혔다. 식약처 누리집 초기화면 상단의 ‘지능형 검색 서비스’ 배너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민원 안내 등 시범 적용

지능형 검색 서비스는 AI의 ‘검색증강생성(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RAG)’ 기술과 생성형 AI 기술을 통합해 만들어졌다. RAG는 자연어 처리(NLP)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질문한 내용을 분석해 더 정확하고 관련성이 높은 응답을 생성할 수 있게 해준다.

지능형 검색 서비스는 현재 시범 단계로, 이번에는 영업자와 관계 공무원들이 주로 활용하는 ‘식의약 분야별 민원인 안내서(1,231건)’와 ‘공무원 지침서(226건)’에 대해 우선 제공한다. 해당 범위 안에 존재하는 내용에 한해, 관련된 내용을 빠르게 답변할 수 있도록 하는 취지다. 

현재는 민원 안내와 공무원 지침에 대해서만 시범 제공되므로, 식품 및 의약품에 관해 일반적으로 궁금해할만한 질문은 검색할 수 없다. 다만, 어떤 단어를 검색했을 때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면, 우측에 ‘추천 질문’을 보여주는 형식으로 자연스러운 정보 검색을 유도해준다.

상단의 '법령/자료' 메뉴를 클릭해 세부 메뉴 중 '공무원지침서/민원인안내서'로 접근해도 이용할 수 있다. /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
상단의 ‘법령/자료’ 메뉴를 클릭해 세부 메뉴 중 ‘공무원지침서/민원인안내서’로 접근해도 이용할 수 있다. /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

챗GPT 같은 대화형 검색 지원

지능형 검색 서비스는 기존까지 포털에서 널리 사용되던 ‘키워드 중심 검색’을 벗어나는 것이 핵심이다. 널리 쓰이고 있는 챗GPT와 같은 대화형 AI를 사용할 때, 사람들은 키워드 중심의 검색보다는 대화하는 것처럼 검색을 한다. 이처럼 지능형 검색 서비스 역시 사용자가 궁금한 사항을 ‘질문 형태’로 입력하면 AI가 그 의도를 이해해 답변을 찾아주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수입신고 절차가 궁금해요”라든가 “화장품 위해평가 어떻게 하나요?”라는 식으로 질문을 입력하면, 그와 연관성이 높은 안내서·지침서, AI 요약 정보, 검색 추천 목록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보여준다.

대화형으로 질문을 하면, AI 요약과 함께 관련 안내자료를 찾아준다 /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지능형 검색 서비스
대화형으로 질문을 하면, AI 요약과 함께 관련 안내자료를 찾아준다 /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지능형 검색 서비스

공식 용어 몰라도 검색 가능

이 방식은 정확한 용어나 명칭을 알지 못하는 일반인들에게 특히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 통용되는 용어나 공식적·법적 표현을 정확히 알지 못해, 검색을 하고자 해도 무엇을 검색해야 하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지능형 검색 서비스는 일부 단어만 사용한다거나 오탈자, 줄임말 등으로 검색해도 질문 의도를 파악해 관련 문서를 안내할 수 있다.

현재 지능형 검색 서비스는 민원인 안내 및 공무원 지침에 한하여 제공된다. 식약처는 향후 사용자들의 관심도 등을 반영해 정보 제공 범위를 단계적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도 일반 국민들이 식의약 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AI 외에도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적극 활용해 정보 제공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용어가 정확하지 않은 상황에서의 검색, 검색한 내용에 대한 자료가 없는 검색 등을 시도할 경우, 우측에 '추천 질문'을 보여줘, 보다 원활한 검색을 돕는다 /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지능형 검색 서비스
용어가 정확하지 않은 상황에서의 검색, 검색한 내용에 대한 자료가 없는 검색 등을 시도할 경우, 우측에 ‘추천 질문’을 보여줘, 보다 원활한 검색을 돕는다 /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지능형 검색 서비스

관련 기사

author-img
헬스라이프헤럴드
CP-2023-0441@fastviewkorea.com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관세청, ‘국산 둔갑 우회 수출’ 대대적 단속 착수
  • 쇼핑엔티, 황금연휴 겨냥 실속형 패키지 여행 상품 대거 편성
  • 빅데이터로 본 ‘대한민국 장례 문화의 10년 변천사'
  • 김도읍 의원 “하도급대금 지급보증 강화 법안 발의”
  • 김건희 특검 추천위 첫발… 이석범 변호사 위원장 선출
  • “정보통신의 날, 본래 주인인 우체국에 돌려줘야”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꼭꼭 숨어도 세상사람 다 안다는 간판 없는 맛집 5
    꼭꼭 숨어도 세상사람 다 안다는 간판 없는 맛집 5
  • 진하고 깊고 얼큰한 맛의 중독, 짬뽕 맛집 BEST 5
    진하고 깊고 얼큰한 맛의 중독, 짬뽕 맛집 BEST 5
  • 술이 싸거나, 안주가 싸거나, 서울 가성비 술집 5
    술이 싸거나, 안주가 싸거나, 서울 가성비 술집 5
  • 부담없이 맘껏 먹는 대혜자 가성비 한우 맛집 best3
    부담없이 맘껏 먹는 대혜자 가성비 한우 맛집 best3
  •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대한 ‘과대광고’ 금지, 중국에서 처음 시작된다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대한 ‘과대광고’ 금지, 중국에서 처음 시작된다
  • 현대차, 포스코와 손잡고 북미 철강·배터리 공급망 강화 나선다
    현대차, 포스코와 손잡고 북미 철강·배터리 공급망 강화 나선다
  • 자동차가 곧 성격! ‘나혼산’ 출연진 차량 라인업 완전 분석
    자동차가 곧 성격! ‘나혼산’ 출연진 차량 라인업 완전 분석
  • 요즘 20대는 첫차로 이 브랜드를 산다? 이유는 의외
    요즘 20대는 첫차로 이 브랜드를 산다? 이유는 의외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꼭꼭 숨어도 세상사람 다 안다는 간판 없는 맛집 5
    꼭꼭 숨어도 세상사람 다 안다는 간판 없는 맛집 5
  • 진하고 깊고 얼큰한 맛의 중독, 짬뽕 맛집 BEST 5
    진하고 깊고 얼큰한 맛의 중독, 짬뽕 맛집 BEST 5
  • 술이 싸거나, 안주가 싸거나, 서울 가성비 술집 5
    술이 싸거나, 안주가 싸거나, 서울 가성비 술집 5
  • 부담없이 맘껏 먹는 대혜자 가성비 한우 맛집 best3
    부담없이 맘껏 먹는 대혜자 가성비 한우 맛집 best3
  •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대한 ‘과대광고’ 금지, 중국에서 처음 시작된다
    운전자 보조 시스템에 대한 ‘과대광고’ 금지, 중국에서 처음 시작된다
  • 현대차, 포스코와 손잡고 북미 철강·배터리 공급망 강화 나선다
    현대차, 포스코와 손잡고 북미 철강·배터리 공급망 강화 나선다
  • 자동차가 곧 성격! ‘나혼산’ 출연진 차량 라인업 완전 분석
    자동차가 곧 성격! ‘나혼산’ 출연진 차량 라인업 완전 분석
  • 요즘 20대는 첫차로 이 브랜드를 산다? 이유는 의외
    요즘 20대는 첫차로 이 브랜드를 산다? 이유는 의외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