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에게는 제2의 엄마시죠. 간호사라는 직업을 꿈꾸게, 그리고 그 꿈을 이룰 수 있게 해주신 스승이십니다.” – 김재아 간호사 |
“환자응대와 안내는 물론이고 질환에 대한 이해력이 뛰어났어요. 제가 알려주는 하나하나를 정말 스폰지처럼 빨아들이는 것 같았어요. 이렇게 같은 병원에서 의사와 간호사로 일하게 돼 감사할 따름입니다.” – 정성애 교수 |
2019년 이대서울병원 개원 당시 소화기내과 외래에서 환자들에게 진료안내 등 업무를 수행했던 사원이 2025년 3월 이대서울병원 간호사로 재취직해 화제다. 현재 이대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외래간호사로 근무하고 있는 김재아(28)씨가 바로 주인공이다.
김 간호사는 2019년 당시 전문대학을 졸업했지만 자신이 어떤 일을 해야 할지 진로를 결정하지 못했다. 간호지식이 전무해도 근무를 할 수 있다는 친구의 권유로 이대서울병원에 사원으로 입사했다. 소화기내과 외래에 배정을 받아 근무했는데 담당교수가 정성애 소화기내과 교수(이대서울병원 염증성질환센터장)였다.
김 간호사는 “처음에는 몰랐는데 지금 생각해 보니 정 교수님을 만나게 된 것이 저의 인생의 터닝 포인트였다”며 “진료안내, 환자상담, 처방과 관련된 모든 지식을 하나하나 소상하게 알려주신 정 교수님 덕분에 간호사라는 직업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회상했다.
아무리 관심이 있어도 노력 없이는 얻을 수 있는 것은 없다. 김 간호사는 외래에서 사원으로 일하면서 간호사가 되기 위한 준비를 계속했다. 다른 사람들 같으면 그것으로 만족할 텐데 김 간호사는 스승이자 멘토인 정 교수의 응원과 격려가 있었기에 더 큰 꿈을 꾸게 됐다.
김 간호사는 “저의 재능을 알아보시고 간호조무사로 남는 것보다 간호사가 되라고 힘줘 말씀해주신 정 교수님이 없었다면 간호사의 꿈을 포기했을 것”이라며 시간이 될 때마다 “너는 할 수 있을 것 같다”’라는 교수님의 말이 제 머리에서 떠나지 않았고, 정말 간호사가 되어 교수님을 뵙게 돼 꿈만 같다”고 말했다. 김 간호사는 2022년 간호대학 편입을 해 2025년 3월 간호사 국가고시에 합격해 꿈에 그리던 ‘진짜’ 간호사가 됐다.
꿈에 그리던 간호사가 됐지만 취업전선은 만만치 않았다. 여러 대학병원에 정규직 간호사가 되기 위해 도전장을 냈지만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김 간호사는 “고생해서 간호사 자격을 취득했는데 솔직히 계약직 간호사가 되기 싫었지만 이대서울병원에서 계약직 간호사를 채용한다고 해서 나를 간호사로 만들어준 이대서울병원에서 지원근무하기로 결심했다”고 말했다.
현재 이대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외래에서 근무하고 있는 김 간호사는 편하게, 친절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환자와 소통하는 간호사로 인정받고 있다. 정 교수는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와 학생을 가르치는 의대교수로 보람을 느끼며 살고 있지만, 이렇게 선한 인연이 이뤄져 김 간호사와 한 직장에서 생활하고 있는 것이 행복”이라고 전했다.
아직은 가야할 길이 먼 신입 간호사이지만 김 간호사는 간호사로서 자신의 미래를 그리며 생활하고 있다. 김 간호사는 “정 교수님과 같이 일하면서 다른 질환보다도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습득했다”며 “미래에는 염증성 장질환과 같은 희귀난치병 환자들을 케어하는 간호사가 될 수 있도록 현장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유제품의 혈당 조절 효능, 비건 식단보다 효과적
- 탄력성 잃어 찢어지기 쉬운 ‘반월상연골판’ 젊은 관절염도 유발
- 서울대병원, 국내 최초 휴고 로봇 수술 시스템 도입
- 더위와 수면 건강, 점점 더워지는 현실에서 ‘좋은 잠’을 유지하려면?
- 건국대병원 박상우 교수, 美 인터벤션 영상의학회서 최다인용논문상 수상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