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 간식’이지만 자주 먹으면 건강엔 치명적입니다
라면은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즐겨 먹는 대표적인 간편식입니다. 하지만 간편하다는 이유로 습관처럼 먹기 시작하면, 몸속에는 천천히 부담이 쌓이기 시작합니다.
특히 중장년층에게는 라면이 고혈압, 심장 질환, 신장 질환의 주범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입맛을 중독시키는 국물 한 그릇 속에는 생각보다 많은 위험 요소들이 숨어 있습니다.

라면 한 그릇에 들어있는 나트륨은 하루 권장량을 초과합니다
일반적인 라면 1봉지의 나트륨 함량은 약 1,700~2,000mg으로,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성인의 하루 섭취 권장량(2,000mg)에 거의 육박합니다.
국물까지 다 먹게 되면 하루 기준치를 훌쩍 넘게 되며, 이로 인해 혈압 상승, 신장 기능 저하, 부종 등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잦은 나트륨 섭취는 혈관을 좁히고, 혈액 순환에 악영향을 주어 심혈관계 질환 위험도 증가시킵니다.

포화지방과 각종 첨가물이 몸에 만성 염증을 유발합니다
라면의 튀긴 면은 포화지방이 높고, 스프에는 조미료, 인공향료, 산화방지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섭취하면 체내 염증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런 만성 염증은 단순히 소화 문제를 넘어 혈관, 장기, 면역계 전반에 영향을 미쳐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무엇보다 지방간, 당뇨, 비만 등 대사증후군의 시발점이 되기 쉬운 조합입니다.

라면 섭취 시 건강 지키는 실천 가이드 – 이렇게 드세요
1. 국물은 절반 이하만 섭취하거나 아예 버리기
2. 면을 삶은 후 한 번 헹궈 나트륨과 기름기 제거
3. 야채나 두부, 계란 등을 함께 넣어 영양 균형 맞추기
4. 주 1회 이하로 섭취 횟수 제한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