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출 규제 이후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신고가 거래가 급감한 가운데 양천구는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 단지들을 중심으로 재건축 기대감과 실수요가 맞물리며 신고가 행진이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17일 부동산 플랫폼 아파트미의 서울 아파트 신고가 통계 분석 결과, 정부의 대출 규제가 시행된 6월 28일부터 7월 14일까지 서울 전체 아파트 신고가 거래는 294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규제 발표 직전 2주간(6월 13~27일)의 1699건과 비교해 82.7% 급감한 수치다.
이 가운데 양천구는 비교적 낙폭이 작았다. 같은 기간 양천구의 신고가 거래는 127건에서 38건으로 줄어 70.1% 감소에 그쳐 서울 전체 평균을 하회했다. 신고가 거래 건수는 송파구(48건), 강남구(42건)에 이어 서울에서 세 번째로 많지만 성동구(-95%), 마포구(-91.3%), 강동구(-90%) 등 주요 자치구들과 비교하면 감소 폭이 확연히 작았다.
양천구가 상대적으로 견조한 신고가 흐름을 이어간 데는 목동과 신정동 일대의 신시가지 재건축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총 14개로 구성된 목동 신시가지 단지는 현재 서울 서남권 최대 규모 재건축 예정지로 1980년대 준공된 약 2만7000가구 규모의 대단지다.
서울시가 추진 중인 신속통합기획 정비사업 대상지로 지정돼 있으며 재건축을 통해 최고 49층, 총 4만7000가구 규모의 신도시급 주거지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현재 정비계획이 완료돼 정비구역 지정 고시와 사업 인가 절차를 앞두고 있으며 착공은 2030년 전후로 예상된다.
실제로 양천구의 신고가 거래 중 절반 가까이는 목동신시가지 단지에서 나왔다. 신시가지 1~14단지에서는 규제 전 72건, 규제 후 36건의 신고가 거래가 이뤄지며 대출 규제 전 대비 감소율은 절반에 그쳤다. 서울 평균보다 크게 낮은 수준이다.
목동신시가지 10단지 전용 105.58㎡는 14일 26억3000만 원에 거래되며 직전 최고가보다 3억6000만 원이 올랐다. 4단지(67.58㎡)는 2억5000만 원 이상, 12단지(53.46㎡)는 2억2000만 원 이상 기존 최고가를 경신했다. 이 밖에도 대부분 단지에서 수천만~수억 원의 상승 폭을 보이며 신고가를 새로 썼다.
전문가들은 목동 재건축 속도와 규제 환경 변화 여부에 따라 향후 신고가 거래가 꾸준히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실제 사업이 진전되고 있는 단지를 중심으로 실수요와 투자 수요가 동시에 움직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 양천구 내 재건축 단지 중 목동 6단지는 최근 조합 설립 인가를 획득하며 14개 단지 중 가장 먼저 본궤도에 올랐다. 이 단지는 향후 최고 49층, 2173가구 규모로 재탄생할 예정이다.
또 지난 5월에는 목동 4단지(2436가구)와 10단지(4050가구)도 정비계획 및 정비구역 지정이 통과됐다. 서울시는 연내 14개 전 단지의 정비계획 결정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양천구는 교육, 교통, 생활환경이 우수한 입지에 대규모 정비사업까지 더해져 있다”며 “실수요와 투자 수요가 모두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어 당분간 거래와 가격 모두 강세 흐름을 이어가며 신고가 거래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기사 읽기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