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건 불가능해” 세계가 고개 젓던 건물…삼성이 1년 만에 해냈습니다
🌍 세계 최고의 건축가가 설계한 ‘불가능한 건축물’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축가 자하 하디드. 그녀는 유려한 곡선미와 비정형 디자인으로 ‘종이 건축가’라는 별명을 갖고 있었다. 설계는 예술에 가까웠지만, 그만큼 현실에서 구현하기 어려워 실제로 지어진 건물은 많지 않았다.

그런 자하 하디드가 한국에서 도전장을 내민 건축물이 바로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였다. 세계에서 가장 큰 3차원 비정형 건축물로, 처음부터 ‘이건 불가능하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 자하 하디드의 설계는 예술이었지만, 현실 시공은 전혀 다른 문제였다

🧱 4만 5천 개 패널이 전부 다른 모양…“이걸 어떻게 시공해?”
DDP의 외벽은 곡선으로 이뤄져 있어, 단 한 장도 같은 모양이 없는 패널 4만 5천여 장이 필요했다. 문제는 이것을 수작업으로 만들 경우, 20년 이상 걸린다는 계산이 나왔다는 점이다.
실제로 자하 하디드 측은 “한국의 시공 기술은 믿을 수 없다”며, 영국과 독일의 기술진을 찾았지만 그들조차 손으로 패널을 만들고 있었고,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렸다.
📌 외국 기술로는 수작업 20년 걸릴 프로젝트, 현실성 없는 작업이었다

🤖 “우리가 직접 만들자”…인공 두개골+로봇팔로 자동화에 성공한 삼성
삼성물산은 오히려 담담하게 말했다. “이 정도면 우리가 만들 수 있겠는데요?” 의료용 인공 두개골을 제작하는 기술과 산업용 로봇팔을 결합해 전혀 새로운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렇게 4만 5천 장의 비정형 패널을 정확하게 맞춤형 제작하며, 단 1년 만에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꿨다. 세계 건축계가 놀란 순간이었다.
📌 한국 기술력, 1년 만에 완전 자동화 시스템으로 세계를 놀라게 했다

🏙️ 5년 만에 완공, 10년째 서울을 대표하는 랜드마크가 되다
2014년, 마침내 DDP는 완공되었다. 무려 5년간의 공사 끝에 탄생한 이 건물은 지금까지도 디자인과 문화의 상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외국인이 가장 많이 찾는 서울의 명소 중 하나가 되었고, 국제 건축계에서도 ‘기술의 승리’로 불리고 있다.
자하 하디드의 무모한(?) 설계를 현실로 구현해낸 최초의 사례였기 때문이다.
📌 불가능했던 설계가 서울의 문화 중심지가 되기까지, 기술이 만든 기적이었다

📌 한눈에 정리해볼게요
- 세계적인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설계한 비정형 건축물 DDP
- 외벽 4만 5천 개 패널이 모두 다른 모양이라 기존 방식으로는 시공 불가
- 외국 기술로는 20년 걸릴 작업을 삼성물산이 자동화로 1년 만에 해결
- 2014년 완공 이후 서울을 대표하는 문화·디자인 명소로 성장
- 한국 건설 기술력과 창의력의 상징으로 세계 건축계에 각인됨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