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2억4000만 년 전 호주 대륙의 담수를 누빈 신종 양서류의 화석 분석이 2년째 진행됐다. 골격이 거의 온전하게 남은 이 화석은 두 차례에 걸친 대멸종을 양서류가 견딘 비밀을 품었다고 생각된다.
호주 국립박물관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21일 조사 보고서를 내고 약 2억4000만 년 전 담수에 서식한 거대 양서류 아레나에르페톤 수피나투스(Arenaerpeton supinatus)의 분석이 순조롭다고 전했다.
아레나에르페톤 수피나투스의 화석은 1990년대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모처의 양계농가 주인이 모은 돌 속에서 나왔다. 은퇴한 양계농가 주인은 집 정원에 돌담을 쌓을 목적으로 채석장에서 돌을 운반했는데 독특한 무늬를 가진 돌 하나를 애지중지 보관했다.

해당 돌은 나중에 호주 국립박물관에 기증됐다. 기묘한 무늬에 주목한 학자들은 2023년 정밀분석에 나섰다. 완전한 골격에 연조직까지 일부 보존된 이 화석은 삼첩기(트라이아스기) 호주의 담수 하천에 서식한 거대 양서류 신종으로 확인됐다.
고생물학자 매튜 매커리 박사는 “아레나에르페톤 수피나투스는 라틴어로 ‘누운 채 모래를 기어 다니는 자’라는 의미”라며 “현생종 큰도롱뇽속과 비슷한 외형을 한 이 생물은 두 번에 걸친 대멸종을 견딘 양서류의 비밀을 알려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2년간 분석 결과 우리는 이 양서류가 공룡보다 전에 지구에 등장했고, 공룡시대를 살다 사라진 양서류 그룹 분추목(Temnospondyli)의 갈래임을 알아냈다”며 “분추목은 현생종 도롱뇽과 외형이 비슷하나 보다 원시적이고 형태도 다양하다”고 덧붙였다.

아레나에르페톤 수피나투스 화석이 귀중한 것은 뛰어난 보존 상태다. 트라이아스기 분추목 화석은 머리와 몸통이 연결된 것만 해도 드문데, 연조직이 보존된 샘플은 더욱 찾아보기 어렵다.
매튜 매커리 박사는 “이 양서류는 2억5000만~2억 년 전 현재의 시드니 분지를 흐르던 담수가 주 서식지”라며 “클레이트롤레피스(Cleithrolepis)라는 고대 물고기를 주로 잡아먹은 이 생물은 생김새와 크기가 현생종 도롱뇽과 닮았고, 특히 머리 형상은 똑같다”고 언급했다.

박사는 “갈비뼈나 연조직 크기로 보면 오늘날의 도롱뇽보다 훨씬 건장한 체격임을 짐작할 수 있다”며 “작지만 날카로운 이빨도 가진 이 고생물은 전체 길이 약 1.2m로 꽤 크지만, 실은 동시대 서식한 동류의 동료보다는 작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아레나에르페톤 수피나투스보다 약 1억2000만 년 후 호주에 등장한 분추목 동료 중에 거대화한 종이 많은 점에 주목했다. 이로 미뤄 아레나에르페톤 수피나투스가 몸의 크기를 줄여 가혹한 대멸종에서 살아남았다고 연구팀은 짐작했다.
이윤서 기자 lys@sputnik.kr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