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대감만 컸던 대선 직전, 가격은 단숨에 치솟았다
세종시는 21대 대선을 앞두고 전국에서 가장 주목받은 부동산 시장 중 하나였다.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 이전 공약이 잇달아 터지며, 실제 이전 여부보다 ‘이전할 것 같다’는 기대감이 시장을 강하게 밀어올렸다.
단기간에 수천만 원에서 억 단위로 아파트값이 올라갔고, 투자자와 실수요자 모두 대거 몰려들었다. 부동산 시장에서 이른바 ‘정치 호재’가 현실보다 더 강하게 작용한 순간이었다.
📌 공약 하나에 반응한 시장, 실체보다 기대감이 앞섰다

💸 대선 끝나자 찬바람… 실거래가는 수억 원 하락
하지만 대선이 끝나자 분위기는 정반대로 흘러갔다. 구체적인 집무실 이전 논의가 흐지부지되면서, 불확실성만 남긴 채 시장은 얼어붙었다. 실제 사례를 보면 하락 폭은 상상을 뛰어넘는다.
대평동 ‘해들4단지 중흥S클래스’는 2021년 9억5000만 원에 거래됐지만, 최근엔 6억 원까지 떨어졌다. 조치원의 ‘신흥 e편한세상’ 역시 고점인 7억3000만 원에서 최근 4억5000만 원에 거래되며 3억 가까이 내려앉았다. 아름동 한신휴플러스도 같은 면적이 7억5000만 원에서 5억 원으로 하락했다.
📉 불과 2~3년 전 고점 매수자, 수억 원 손실 떠안았다

📊 통계로 본 세종의 변화… 회복 가능성은 글쎄
국토부 실거래 자료에 따르면 세종시의 아파트 거래량은 대선 직전 1300건 이상으로 폭증했으나, 그 후 매매 열기는 급격히 식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5월 초만 해도 0.48% 상승폭을 보였던 주간 가격 변동률은 불과 2주 만에 0.03%로 축소됐다.
상승 여력은 사라지고, 하락 우려만 남은 셈이다. 공급량은 충분한데 반해 신규 매수세는 극도로 위축되며 가격 조정이 본격화됐다.
📉 열기는 빠졌고, 기대감은 꺼졌으며, 매수세는 실종 상태

🧨 고점 매수자들, 전세 놓고도 속앓이 중
가장 큰 고통을 겪는 건 대선 직전 아파트를 매수했던 이들이다. 실거주 목적이든 투자 목적이든, 당시 급등장에 계약한 이들은 현재 기준으로 2억~4억 원의 손실을 입은 상황이다.
일부는 전세로 돌렸지만 시세 하락과 맞물려 전세보증금 반환 문제에 직면한 경우도 있다. 특히 갭투자자들은 시세 하락에 더해 대출금과 이자 부담까지 겹쳐 속앓이를 하고 있다. 일각에선 “정책 리스크가 부동산에서 얼마나 위험한지를 세종이 보여줬다”는 말까지 나온다.
📌 ‘수도 이전 기대감’이 만든 버블… 피해는 고스란히 실수요자 몫

⚖ 전문가들 “시장 불확실성, 정치 의존하면 안 된다”
전문가들은 세종 부동산의 하락 원인을 단순한 가격 조정이 아니라 ‘정치적 기대감의 과잉’에서 찾고 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세종의 급등은 공급과 수요에 기반한 상승이 아니었고, 공약이라는 불확실한 요소에 기대감이 집중된 결과”라고 진단한다.
특히 ‘수도 이전’이라는 거대한 이슈가 불확실한 상태로 머물면서, 투자심리는 급격히 얼어붙었다. 회복을 위해선 실질적인 행정기관 이전, 교육 인프라 확대 같은 실체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잇따른다.
📉 기대가 꺼진 자리엔 실망과 손실만 남는다… 신뢰 회복이 우선

📍 세종의 교훈, 부동산은 정책 아닌 ‘현실’을 봐야 한다
세종시 부동산의 급등과 급락은 ‘기대감에 올라탔다가 현실에 무너진’ 전형적인 사례다. 대선이라는 정치적 이벤트에 의존한 시장은, 결과가 애매할 경우 반드시 반작용을 겪는다.
지금 세종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은 정책 신뢰가 무너진 지역이 겪는 부작용 그 자체다. 앞으로 부동산 투자자와 실수요자 모두 ‘공약’이 아니라 ‘이행 가능성’과 ‘생활 인프라’라는 현실적 기준을 먼저 따져봐야 한다.
📌 부동산에서 가장 위험한 건 ‘기대만 컸던 지역’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