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심승혁 교수가 ‘초기 상피성 난소암에서 림프절 절제술의 생존 효과’를 세계 최초로 규명한 공로로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해당 상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관하며, 심 교수의 연구는 국내외 부인암 치료 지침에 의미 있는 전환점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수상 논문은 2024년 7월호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에 게재된 「임상적으로 초기 진단된 상피성 난소암에서 림프절 절제술의 생존 효과 분석: GORILLA-3002 후향적 다기관 연구」로, 심 교수와 국내 부인암 연구자 협업팀(GORILLA)의 공동 연구 결과다.
연구는 2007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4개 3차 의료기관에서 임상적으로 초기 상피성 난소암으로 진단된 환자 586명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 중 림프절 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453명, 받지 않은 환자는 133명이었다. 전체 환자를 분석한 결과, 5년 무병생존율과 전체생존율 모두 두 군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환자의 암 조직형에 따라 생존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장액성(serous)’ 조직형 환자를 별도로 분석한 결과, 림프절 절제를 받은 그룹의 5년 무병생존율은 86.5%로, 절제하지 않은 그룹의 74.4%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48). 특히 조정 위험비는 0.281로, 림프절 절제가 재발 위험을 약 72%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0). 반면, 점액성·명세포성 등 다른 조직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기존 일률적으로 적용되던 림프절 절제 기준에 의문을 제기하며, 난소암 치료에 있어 조직형 기반 맞춤형 수술 방침의 필요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또한 림프절 절제술의 합병증 위험성까지 함께 분석해, 불필요한 수술로 인한 외과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근거도 함께 제시됐다.
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초기 난소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동시에 불필요한 수술을 줄이는 근거를 마련한 것”이라며 “향후 여성암 환자들에게 보다 정밀하고 개인화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적인 난소암 진료 가이드라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임상적 데이터로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여성암 분야의 진단과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준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폐렴 적정성 평가 1등급 획득
- 한양대학교병원, 응급·신생아 중환자실 리뉴얼 완료
- 세란병원, 자율신경실조증의 조기 진단과 치료 중요성 강조
- 보도일시 : 배포 즉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배 포 일 2025년 7월 23일 목요일 (총 2매) 담당교수 소아신경외과 김승기 담 당 자 홍보팀 윤효빈 연 락 처 – 연 락 처 02-2072-0088 010-5138-1063 첨부자료 포스터 1매 서울대병원, 제27차 모야모야병 공개강좌 개최 – 8/6(수) 어린이병원 CJ홀에서 강좌 및 상담 개최..
- 세계 간염의 날 맞아 조기검진 강조… “간염, 방치하면 간경변·간암 위험 높아”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