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0대는 집 다 팔았는데…50대는 왜 오히려 다 사들였을까?
🧾 청약통장, 이제는 믿을 수 없는 전략?
올해 들어 주택청약통장 가입자 수가 급감했습니다. 50년 가까이 이어져온 ‘청약→분양→자산 상승’이라는 공식이 무너지고 있는 건데요.
분양가가 시세만큼 올라 더 이상 ‘저렴하게 분양받는다’는 메리트가 사라지면서, 특히 청년층과 1인 가구 중심으로 청약에 대한 회의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 “청약통장이 더 이상 내 집 마련의 첫걸음이 아닌 시대입니다.”

📊 20~30대, 청약도 매수도 다 포기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023년부터 청약 경쟁률은 급격히 높아졌고, 서울은 무려 164대1을 기록했습니다. 당첨 가능성도 낮은 데다 분양가가 너무 높아 실제 구입이 어려운 상황이죠.
결국 20대, 30대는 청약도 포기하고, 코로나 시기 무리해서 매수했던 집들도 다시 매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 “영끌로 샀던 집, 이젠 고금리에 짐이 됐습니다.”

🏠 30대는 집 팔고, 50대 이상은 사들인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30대는 약 6만1000명이 주택을 처분했습니다. 반면, 50대는 8만6000명, 60대는 17만명 이상 주택을 새로 보유하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 주택 보유자 수는 증가했지만, 연령대별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셈입니다.
📈 “이젠 50대 이상이 집을 사들이는 주인공입니다.”

💰 왜 50대는 이 시기에 다시 집을 살까?
50대 이상 중장년층은 청약과 무관한 계층입니다. 당첨 가능성도 낮고, 특공에서도 소외되기 때문이죠. 대신 일정 자산을 쌓은 이들은 고정 수입과 현금 여력을 바탕으로 실거주 목적 또는 노후 대비 투자용 주택 매수에 나선 것입니다.
특히 고금리로 인해 매매 시장이 잠잠한 지금이 ‘기회’로 보이는 계층이기도 합니다.
🔎 “청약이 아니라, 실거주·투자로 전략 바꾼 중장년층입니다.”

🔄 정책 유인에도 변화 없는 청약시장
국토부는 청약 납입금 한도를 10만원에서 25만원으로 늘리고, 모든 유형의 주택에 신청 가능한 통합 청약통장을 출시하는 등 대응에 나섰지만 청년층의 마음을 돌리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청약 가점이 낮고 시세 차익 기대도 낮은 상황에서, 굳이 장기 납입을 이어갈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 “청약통장은 정책으론 못 살리고 시장 현실이 바꿨습니다.”

🧠 전문가의 조언, “청약보단 기축 매수 전략을”
전문가들은 앞으로 청약보다 기존 아파트 매매로 눈을 돌리는 수요가 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연세대 고준석 교수는 “청약 당첨을 기다리기보다는, 원하는 지역에서 바로 매매에 나서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공급 부족과 화폐 가치 하락을 고려하면 실수요자는 빠르게 결정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말합니다.
📌 “청약은 기다림의 전략, 매매는 현실적 선택입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