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말고 ‘이 과일’을 먹으면 여름철 열사병 바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연일 이어지는 무더위 속에 물을 아무리 마셔도 갈증이 해소되지 않는 날이 있다. 머리가 멍하고 식은땀이 흐르며, 어지러움까지 동반되면 이미 열사병 초기 증상일 수 있다. 대부분은 물을 많이 마시는 걸로 대응하지만, 체내 전해질 균형이 깨지면 오히려 탈수 위험이 커진다. 이럴 땐 수분과 전해질을 동시에 보충해줄 수 있는 과일 하나가 큰 역할을 한다.

수분만 채우면 부족합니다
열사병은 단순히 더위에 노출돼 생기는 현상이 아니다. 체온 조절 기능이 무너지면서 몸속 수분과 염분, 칼륨 같은 전해질이 빠르게 소실돼 발생한다. 이때 물만 계속 마시면 일시적으로는 갈증이 가라앉을 수 있어도, 전해질 손실이 보완되지 않아 오히려 더 큰 문제를 만들 수 있다. 그래서 여름철엔 물보다 더 균형 잡힌 ‘섭취’가 필요하다.

열사병 막아주는 과일, 바로 ‘수박’입니다
수박은 90% 이상이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칼륨과 마그네슘, 비타민C 같은 전해질이 풍부하다. 특히 칼륨은 여름철 땀으로 빠져나가기 쉬운 전해질 중 하나로, 부족하면 근육 경련이나 피로감이 더 쉽게 온다. 수박 한 조각은 단순한 갈증 해소 이상의 역할을 하며, 열사병 예방에 효과적인 식품으로 손꼽힌다.

수박, 그냥 먹지 말고 이렇게 드셔보세요
수박을 그냥 잘라 먹는 것도 좋지만, 약간의 변화를 주면 흡수력과 만족감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수박을 깍둑 썰어 냉동해 얼음처럼 보관해두었다가, 더운 낮에 간식으로 꺼내 먹는 방식이 있다. 여기에 약간의 소금을 뿌리거나, 키위나 토마토와 섞어 간단한 과일 샐러드로 만들면 전해질 조합이 더 풍부해진다.

여름철 한국인 식단엔 수박이 꼭 필요합니다
된장찌개, 김치, 고추장 반찬처럼 짠 음식을 즐겨 먹는 한국인의 식습관은 오히려 탈수를 유발하기 쉽다. 땀과 함께 수분이 빠져나간 상태에서 짠 음식을 먹으면 몸속 나트륨 농도는 더 올라가고, 이로 인해 열사병 위험도 증가한다. 이런 식단 구조에서 수박은 자연스럽게 수분과 전해질을 함께 보충해주는, 밸런스를 맞춰주는 역할을 한다.

수박보다 나은 대체 과일도 있습니다
수박이 부담스러운 사람에겐 참외나 포도도 좋은 대안이 된다. 참외는 수분이 많으면서 칼로리가 낮고, 포도는 포도당이 빠르게 흡수돼 체력 회복에 도움을 준다. 단, 냉장 보관된 차가운 과일을 너무 급하게 먹는 것은 위장에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한 입씩 천천히 먹는 습관이 중요하다.

매일 한 조각이면 충분합니다
여름철 건강은 큰 변화보다 작은 관리에서 차이가 생긴다. 식사 사이에 수박 한 조각, 외출 전 후에 과일 샐러드 한 접시 정도면 체내 균형을 지키기에 충분하다. 물을 많이 마셔도 답답한 느낌이 가시지 않는 날이라면, 과일을 꺼내 한입 베어 물어보자. 그 시원한 단맛 속에 여름을 견디는 힘이 숨어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