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가오는 초고령사회, 국민의 지갑은 얼마나 더 얇아질까요?
최근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72년에는 건강보험료율이 지금의 3.5배, 장기요양보험료율은 15배 가까이 급등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이대로라면 월급 중 25%가 건강보험료로 빠져나가는 미래도 먼 이야기가 아닙니다.
2072년, 건강보험료율 25% 돌파 예상

서울대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의 의뢰로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의 의료비 지출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건강보험 재정 압박이 심각해질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2023년 고령층 진료비 비중: 44.1% 2030년: 53.1% 2040년: 63.9% 2050년: 70.2% 돌파 예상
이에 따라 건강보험료율은 현재 7.09%에서 2072년 25.09%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직장가입자 기준으로 회사와 절반씩 나눈다 해도 사회 전체의 부담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구조입니다.
더 큰 문제는 ‘돌봄 비용’

보고서가 경고한 더 심각한 부분은 노인 장기요양보험료의 증가폭입니다.
현재 건강보험료의 12.95%를 차지하는 장기요양보험은
2023년: 0.91% 2035년: 1.95% 2050년: 5.84% 2072년: 13.97% (15배 이상 급증)
즉, 고령화로 인한 돌봄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제도적 보완은 크게 미흡하다는 뜻입니다.
서울대 연구진은 이 추산조차 현실보다 보수적일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해결 없으면, 미래 세대가 파산

전문가들은 입을 모읍니다.
“지금 개혁하지 않으면 미래 세대의 부담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노인연령 기준 조정, 의료·돌봄 서비스 효율화, 기술 혁신과 인력 확충, 지출 구조 재설계가 병행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우리는 지금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이제는 단순히 보험료율을 논의할 시점이 아니라, 사회 전체가 어떤 돌봄 시스템을 만들어갈지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현재의 보험료 인상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미래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노후를 위한 대비는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입니다. 지금부터 준비하세요. 그래야 20년 뒤, 많은 것을 지킬 수 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