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파트입주전망지수가 크게 하락했다. ‘6·27 대출 규제’로 주택 거래가 위축되고 입주를 위한 대출 확보가 어려워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13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8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75.7로 전월보다 20.1포인트(p) 하락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117.1에서 76.1로 41p 떨어졌다. 서울(121.2→76.3)과 인천(111.5→70.3), 경기(118.7→81.8)가 모두 대폭 하락했다.
광역시(91.0→80.2)는 10.8p 내렸다. 울산(100.0→78.5)의 낙폭이 가장 컸고 이어 대구(95.0→80.0), 광주(86.6→78.5), 부산(84.2→77.7) 순이다. 대전(87.5→91.6)은 소폭 상승했다.
도 지역(91.5→72.2) 19.3p 하락했다. 특히 충남(100.0→70.0), 전북(100.0→72.7), 경남(100.0→75.0), 전남(90.9→66.6)의 지수가 크게 떨어졌다.
주산연은 “6·27 대출 규제로 주택거래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아파트 입주 전망이 심각하게 악화했다”며 “6·27 대책이 아파트 입주자금 조달에 애로를 유발해 결국은 민간공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고 설명했다.
7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3.9%로 전월보다 3%p 올랐다. 수도권(80.8%→83.4%)과 5대 광역시(53.8%→60.8%), 기타지역(58.7%→58.8%)이 모두 상승했다.
미입주 원인은 잔금대출 미확보가 38.5%로 가장 많았다. 전월보다 11.4%p 상승한 수치다. 이어 기존주택매각지연(32.7%), 세입자미확보(17.3%), 분양권매도지연(1.9%) 순으로 나타났다.
주산연은 “잔금대출미확보 비중이 급증한 것은 대출 규제 강화로 인한 자금경색이 수분양자의 입주를 직접적으로 제약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대출환경이 개선되지 않으면 입주 포기 증가로 미분양 장기화, 사업자의 유동성 악화가 나타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기사 읽기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