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95% 국산화” 제7군단 최전방 배치 유력하다는 ‘이것’ 역대급 화력 나온다!

밀덕 군대 이야기 조회수  


한국군의 집착, 수상주행 능력에서 벗어나다

수십 년간 한국 육군은 모든 장갑차에 ‘수상주행 능력’을 필수 조건으로 요구해왔다. K200 장갑차, 차륜형 장갑차, 그리고 제7군단을 위한 K21 장갑차까지 모두 강물 위에 뜰 수 있어야 한다는 고집이 이어졌다. 문제는 이러한 집착이 장갑차의 본질적인 성능을 오히려 떨어뜨렸다는 점이다. 물에 뜨려면 무게를 줄여야 하고, 무게를 줄이면 장갑이 얇아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K21은 기동성과 화력에 비해 방어력이 취약하다는 지적을 꾸준히 받아왔다. 하지만 최근 국방과학연구소의 연구 결과, 수상주행 대신 수중도하 장비를 활용하면 충분히 대체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오면서 상황은 바뀌기 시작했다. 이제 육군은 방어력 강화를 최우선으로 삼는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다.


레드백의 부상과 국산화 전환

호주 수출 성공으로 국제적 주목을 받았던 레드백 장갑차는 초기에는 국내 도입 가능성이 희박했다. 가장 큰 이유는 낮은 국산화율이었다. 2022년 시범 운용 당시 레드백의 국산화율은 불과 19%에 그쳤다. 포탑, 장갑, 대전차 미사일, 심지어 고무궤도까지 해외산에 의존했고, 가격은 대당 110억 원을 넘어섰다.


이는 K21 장갑차의 3차 양산가 40억 원, 심지어 능동방호체계를 추가한 75억 원 수준과 비교했을 때 부담스러운 금액이었다. 그러나 한화시스템은 포기하지 않았다. 2024년부터 국방기술진흥연구소와 함께 대규모 국산화 사업을 추진한 결과, 불과 4년 만에 국산화율을 95%까지 끌어올렸다. 엔진, 포탑, 장갑, 미사일까지 대부분의 핵심 부품을 국내 기술로 전환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가격 경쟁력 확보와 성능 비교

국산화율이 높아지면서 가격 경쟁력도 확보되었다. 현재 레드백의 예상 단가는 약 80억 원으로, 능동방호체계를 장착한 K21의 실질 단가 75억 원과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방어력에서 두 차량은 비교가 되지 않는다.


K21은 사실상 대인지뢰 정도만 막을 수 있는 수준에 머무르지만, 레드백은 레벨 4 지뢰방어력을 확보해 10kg 폭약이 차량 하부에서 폭발해도 승무원을 보호할 수 있다. 이는 42톤이라는 중장갑 플랫폼에서 비롯된 결과다. 성능과 가격을 종합적으로 비교할 때, 레드백이 K21을 압도한다는 평가가 점점 힘을 얻고 있다.


신무기 통합과 첨단 소재 적용

레드백은 단순히 방어력만 강화된 장비가 아니다. 국산화 과정에서 한화시스템이 개발한 천검 라이트 대전차 미사일이 탑재될 예정이다. 이는 기존 이스라엘제 미사일을 대체하며, 사거리와 관통력 모두 향상된 국산 무기 체계다. 또한 포스코가 개발한 신형 고강도 강재가 적용되면 무게는 약 38톤 수준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이는 장갑차의 기동성을 유지하면서도 방어력을 유지할 수 있는 핵심 요인이다. 한화는 이 국산화 버전을 ‘레드백 EX’에서 ‘차세대 보병전투차 블록1’로 명칭을 바꿨다. 이는 단순한 수출형 개량이 아니라 한국군 도입을 전제로 한 실질적 모델로 발전했음을 시사한다.


제7군단 기갑수색대에 우선 배치 전망

현재 육군은 레드백 약 100대를 우선 도입해 제7군단 기갑수색대에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제7군단은 유사시 북진의 선봉에 서는 전략 기동군단으로, 가장 위험한 임무를 수행한다. 그동안 기갑수색대가 방어력 부족 장갑차를 타고 작전에 투입된 것은 큰 위험 요소였다. 레드백이 도입된다면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육군 내부에서는 이미 80% 이상의 확률로 도입이 확정적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으며, 최종 결정은 머지않아 내려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단순한 무기 도입이 아니라, 한국군이 오랜 ‘수상주행 집착’을 벗고 실질적 전투 생존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신호탄이 될 것이다.

관련 기사

author-img
밀덕 군대 이야기
CP-2025-0145@fastviewkorea.com

댓글0

300

댓글0

[AI 추천] 랭킹 뉴스

  • 제주공항근처 가볼 만한 곳 제주 야경 명소 추천 제주 용두암
  • 독서 시간이 늘어나니 좋다!
  • 양파 오래 두고 먹으려면, 반드시 이렇게 호일로 싸서 보관하세요
  • 똑똑한 사람들은 ''이것'' 절대 안버립니다, 무조건 ''이렇게'' 사용하세요.
  • 밥상에 이 4가지 ''반찬'' 먹지만 않으면 최소 10년은 건강하게 살수있습니다.
  • "이 과일은" 마트에서 사오면 무조건 냉장고에 넣으셔야 합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이순신 장군의 땅과 집을 180억원에 팔려고 했던 후손의 최후
    이순신 장군의 땅과 집을 180억원에 팔려고 했던 후손의 최후
  • ‘무슨 관계?’ 김건희와 4시간 26분 넘게 새벽까지 통화한 이 남자의 정체
    ‘무슨 관계?’ 김건희와 4시간 26분 넘게 새벽까지 통화한 이 남자의 정체
  • 美시민권자 된 유승준 향해 병무청 직원이 바로 앞 면전에서 한 말
    美시민권자 된 유승준 향해 병무청 직원이 바로 앞 면전에서 한 말
  • 故 이선균의 마약 수사 정보를 유출한 경찰관의 뻔뻔한 근황
    故 이선균의 마약 수사 정보를 유출한 경찰관의 뻔뻔한 근황
  • “제네시스가 틀렸다!” 정반대 행보… 후륜 스포츠 세단 Q50 부활 확정
    “제네시스가 틀렸다!” 정반대 행보… 후륜 스포츠 세단 Q50 부활 확정
  • “택배기사에 통행료 10만원 요구!” 순천 아파트 갑질… 논란 일자 결국 철회
    “택배기사에 통행료 10만원 요구!” 순천 아파트 갑질… 논란 일자 결국 철회
  • “영포티 아빠차로 딱이네!” 투싼 N과 경쟁할 스포츠 SUV 등장
    “영포티 아빠차로 딱이네!” 투싼 N과 경쟁할 스포츠 SUV 등장
  • “결국 패배 인정한 벤츠” BMW에 굴복! 적과의 동침 시작됐다
    “결국 패배 인정한 벤츠” BMW에 굴복! 적과의 동침 시작됐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이순신 장군의 땅과 집을 180억원에 팔려고 했던 후손의 최후
    이순신 장군의 땅과 집을 180억원에 팔려고 했던 후손의 최후
  • ‘무슨 관계?’ 김건희와 4시간 26분 넘게 새벽까지 통화한 이 남자의 정체
    ‘무슨 관계?’ 김건희와 4시간 26분 넘게 새벽까지 통화한 이 남자의 정체
  • 美시민권자 된 유승준 향해 병무청 직원이 바로 앞 면전에서 한 말
    美시민권자 된 유승준 향해 병무청 직원이 바로 앞 면전에서 한 말
  • 故 이선균의 마약 수사 정보를 유출한 경찰관의 뻔뻔한 근황
    故 이선균의 마약 수사 정보를 유출한 경찰관의 뻔뻔한 근황
  • “제네시스가 틀렸다!” 정반대 행보… 후륜 스포츠 세단 Q50 부활 확정
    “제네시스가 틀렸다!” 정반대 행보… 후륜 스포츠 세단 Q50 부활 확정
  • “택배기사에 통행료 10만원 요구!” 순천 아파트 갑질… 논란 일자 결국 철회
    “택배기사에 통행료 10만원 요구!” 순천 아파트 갑질… 논란 일자 결국 철회
  • “영포티 아빠차로 딱이네!” 투싼 N과 경쟁할 스포츠 SUV 등장
    “영포티 아빠차로 딱이네!” 투싼 N과 경쟁할 스포츠 SUV 등장
  • “결국 패배 인정한 벤츠” BMW에 굴복! 적과의 동침 시작됐다
    “결국 패배 인정한 벤츠” BMW에 굴복! 적과의 동침 시작됐다

공유하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