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비스 불만→칭찬” 하루 만에 태도 바꾼 배우, 항공사 논란을 말한다
스타의 솔직함이 촉발한 뜻밖의 논란
2025년 7월, 배우 왕빛나가 자신이 이용한 대한항공의 서비스에 공개적으로 불평을 토로한 일이 온라인을 뜨겁게 달궜다. 그의 SNS 게시글 한 장, 짧은 평가는 예상치 못한 여론의 파도를 만들었다.
한 달음에 스타의 영향력, 기업 서비스의 현실, 그리고 소셜미디어 시대의 소비자-기업-공인의 삼각 구도가 거침없이 조명됐다.

“먹을 거 없는 라운지, 맛없는 카푸치노”
왕빛나는 7월 15일 인천공항 내 대한항공 라운지에서 촬영한 사진과 함께 자신의 불만을 숨기지 않았다.
- “먹을 거 없는 라운지, 맛없는 카푸치노, 프로틴바가 살렸다”
- 제한된 음식 구성, 식음료의 질적 만족 부족을 솔직하게 지적
이어서 비행기 탑승 후에는 기내 편의 관련 추가 불만을 전했다.
- 새롭게 제공되는 담요에 대해 “담요는 바뀌어 좋은데, 깔개도 주고 이거 뭐 복잡하다”는 등 복잡한 구성에 당황을 표현
- 기내 어메니티(파우치) 역시 “향수 넣은 건 칭찬해. 그런데 내 사랑 구두주걱은 왜 뺐어? 여전히 파우치는…”이라며 디테일한 소비경험에 대한 아쉬움까지 빠짐없이 언급

불만에서 공론화까지 SNS의 파급력
게시물이 공개된 뒤 다양한 반응이 쏟아졌다.
- 일부는 “연예인도 당연히 이용자로서 불만을 드러낼 수 있다”며 스타의 솔직함과 고객권리를 옹호
- 그러나 더 많은 이들은 “단순 불평치곤 과하다”, “일부 라운지 음식이나 어메니티 문제가 아닌 듯하다”, “공식 계정을 통한 공개 비판은 적절치 않다” 등 비판적 여론으로 기울었다
- 유명인의 공개 발언이라는 무게를 고려해야 한다는 견해가 주류를 이룸
대한항공이나 항공업계 측의 공식 반응은 없었으나, 소비자 평가는 빠르게 확산됐다. 2020년대 들어 항공사 서비스 품질 논란, 공정 서비스 제공에 대한 감시가 증가한 배경과도 무관하지 않았다.

하루 만의 수정, “시트 패드는 위생적…담요 포근”
비판 여론이 이어지자, 7월 16일 왕빛나는 게시글을 일부 수정했다.
전날 남겼던 라운지와 카푸치노 관련 언급을 삭제한 것은 물론, 기내 경험에 대한 서술이 전반적으로 온화하게 바뀌었다.
- “시트에 끼우는 패드 써보니 뭔가 위생적이고 잘 때 너무 포근. 나 비행기에서 늘 추워서 스카프 필수인데 바뀐 담요 세상 따뜻”
- 구두주걱 부재에 대한 아쉬움만 남기고, 해결 가능 여부를 ‘정중한 제안’처럼 표현
- 어메니티 향수 제공 등 긍정적인 부분만 더욱 부각시켜 칭찬의 메시지로 재조정
해당 수정은 “여론을 의식한 태도 변화”라는 평가가 뒤따랐다. 일부 팬들은 “소비자 의견 표출은 자유지만, 반응이 지나치게 바뀌는 건 진정성이 의심스럽다”며 냉정한 시선을 보내기도 했다.

오픈 마켓과 공인: 서비스 비판의 의미와 한계
왕빛나의 사례는 공인이 공적 공간(SNS)에서 특정 서비스에 불만족을 드러낼 때의 파급력과 위험성을 동시에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 일반 소비자라면 개인 SNS에서 경험담을 자유로이 후기로 남길 수 있지만, 수십만~수백만 팔로워를 지닌 유명인의 언급은 한순간에 기업 이미지, 투자, 정책까지 흔들 수 있는 수준의 영향력이다
- 국내 항공사, 특히 국적기 서비스에 대한 불편 제기는 “소비자 권익” 측면으로 볼 수 있지만, 과도하게 부정적 평가가 공개적으로 반복될 경우 ‘비판이 곧 본인의 이미지 타격, 혹은 여론 반작용’으로 되돌아올 수 있다
실제로 스타와 브랜드 간의 서비스 논란은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맛집 방송에서의 혹평 논란, 호텔·카페 등 타 업종 리뷰 논쟁과도 본질적으로 닮아 있다.

왕빛나의 행보와 결론
이번 대한항공 논란 이후, 왕빛나는 새로운 드라마 ‘그래, 이혼하자’로 다시 대중 곁에 설 예정이다. 논란은 잠시였을지 몰라도, 이번 경험은 그에게도, 또 수많은 공인과 소비자, 관련 업계에 분명한 교훈을 남겼다.
스타의 후기 하나, 게시글 하나가 시대의 화두를 낳는 2025년. 서비스에 대한 진지한 비평과 신중함, 그리고 소셜미디어 상의 자기표현이 만들어가는 분위기는, 오늘도 변화하고 있다.
언제나 자유로워 보여도 팔로워 수십만의 영향력을 지닌 한 명의 SNS에는, 당사자도 예측 못 한 사회적 책임과 반응이 따라붙는다는 것을, 이번 사례가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