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탄 신도시에 불어닥친 대규모 경매 파장
경기도 동탄 신도시에서 한 개인이 소유한 아파트 70여 채가 한꺼번에 경매에 나와 지역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동탄은 한때 신도시 프리미엄과 분양 열풍으로 전국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았지만, 최근 집값이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투자자와 실수요자 간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리는 상황이다. 이번 대규모 경매 사태는 동탄 부동산 시장의 구조적 문제와 투자 과열의 후유증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전세 끼고 매매’ 갭투자의 그림자
이번 사태의 중심에는 ‘전세 끼고 매매’ 방식, 즉 소액 투자로 다수의 아파트를 매입하는 갭투자가 있다. 소유주 A씨는 전세를 안고 아파트 수십 채를 매입했으나, 집값이 하락하자 손실을 피하기 위해 이들 아파트를 대거 경매에 넘기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입자들은 전세보증금을 온전히 돌려받지 못할 위험에 직면했다. 집값이 전세금보다 낮게 낙찰되는 ‘깡통 아파트’가 현실화되면서, 세입자들의 불안이 극에 달하고 있다.

세입자, 전세금 반환 위기에 내몰리다
경매에 넘어간 아파트에 살고 있는 세입자들은 보증금 반환에 대한 불확실성에 시달리고 있다. 경매가 유찰되거나 낙찰가가 전세금보다 낮을 경우, 세입자들은 보증금을 모두 돌려받지 못할 수 있다. 실제로 동탄에서는 역세권이 아닌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값이 크게 떨어지면서, 경매마저도 유찰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세입자들은 소유주의 사정으로 인해 집이 경매로 넘어가면, 전 재산이나 다름없는 전세보증금을 잃을 수 있다는 절박함에 시달리고 있다.

소유주의 회유와 세입자의 고통
소유주 A씨는 세입자들에게 “차라리 집을 사라”며 매입을 종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세입자들은 집값이 침체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시세보다 1,000만~2,000만 원 더 비싼 가격에 집을 떠안기도 했다. 이는 경매로 넘어가 보증금을 잃을 수 있다는 두려움에서 비롯된 선택이었다. 세입자들은 “협박 아닌 협박”이라며 억울함을 호소하고, 이사 계획이 무너지는 등 생활 전반에 큰 혼란을 겪고 있다.

경매 유찰과 ‘깡통 아파트’의 현실
동탄에서는 집값 하락과 함께 경매 유찰 사례가 늘고 있다. 경매가 반복적으로 유찰되면, 낙찰가가 전세금 이하로 떨어져 세입자들이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없는 ‘깡통 아파트’ 현상이 심화된다. 실제로 동탄에서만 70여 가구의 세입자가 비슷한 피해를 입은 것으로 파악된다. 일부 세입자들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것을 우려해 무리하게 집을 매입하거나, 지급명령을 통해 강제경매를 신청하는 등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 있다.

전문가, 갭투자 후유증과 제도 개선 촉구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신도시와 수도권 일대에서 유행했던 갭투자 후유증의 전형적인 사례로 보고 있다. 투자자들은 손실을 피하기 위해 편법 경매나 가족 명의 분산 등 다양한 수법을 동원하지만, 실질적 피해는 전세금이 전 재산인 세입자들에게 돌아간다. 전문가들은 “투자자 보호보다 세입자 보호가 우선돼야 한다”며, 제도적 보완과 실질적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주민들, 투기 근절과 세입자 보호 대책 요구
동탄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신도시가 투기꾼들의 놀이터가 됐다”며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 한 주민은 “직장 때문에 이사 왔는데, 한 명이 수십 채를 보유할 수 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았다”며, “선량한 세입자들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역사회에서는 대규모 갭투자와 경매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실거주자 중심의 주택 정책과 세입자 보호 장치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