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겉보기엔 건강해 보이는 반찬 중에도, 당뇨 환자에게는 절대 안 좋은 조리법이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음식이 바로 연근조림입니다.
아삭한 식감과 단짠양념으로 밥도둑이라 불리지만, 조리 방식에 따라 혈당을 급격히 올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당뇨를 앓고 있거나 혈당 관리가 필요한 분이라면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1. 연근 자체는 좋은 식재료입니다

연근은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혈액순환을 돕는 뿌리채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폴리페놀과 탄닌이 들어 있어 염증을 억제하고 혈관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문제는 조리 방법에 따라 혈당 영향을 크게 좌우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2. 설탕과 조청으로 윤기 낸 조림, 혈당에 치명적입니다

많은 가정에서 연근조림을 만들 때 설탕, 물엿, 조청을 듬뿍 넣어 조립니다. 이때 사용되는 당분이 많아질수록 연근의 당지수(GI)는 급격히 높아져 혈당을 빠르게 올리게 됩니다.
게다가 조청과 물엿은 천연 재료로 오해할 수 있지만, 당분 함량은 정제 설탕 못지않아 당뇨 환자에게는 부담이 큽니다.
3. 졸이는 시간 길수록 당 성분이 연근에 깊이 스며듭니다

윤기 있고 쫀득한 연근조림을 위해 오래 졸이면 당분이 연근 안쪽까지 스며들게 됩니다.
이로 인해 당분을 적게 넣었다 해도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게 되고, 실제 섭취 후 혈당이 급등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특히 식사 말미에 먹는 반찬일수록 혈당 스파이크를 일으킬 가능성이 더 높아집니다.
당뇨 환자라면 단맛 줄이고, 살짝 데쳐 무쳐 드세요

연근을 건강하게 섭취하려면 설탕 대신 간장, 식초, 참기름으로 가볍게 무쳐 먹는 방식이 좋습니다. 또는 올리브유에 살짝 볶아 연근칩으로 만드는 것도 좋은 대안입니다.
당뇨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도 연근조림은 가끔, 소량으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익숙한 반찬도 조리법에 따라 건강에 큰 차이를 만든다는 점,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