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탈장은 말 그대로 몸속 장기나 조직이 제자리를 벗어나 돌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가장 흔한 형태는 복벽 탈장으로, 복부 근육층이 약해지면서 장이 피부 쪽으로 밀려 나오며 혹처럼 만져진다.
보통 배에 작은 혹이 생긴 것처럼 느껴지고, 서 있거나 기침을 할 때 더 뚜렷해진다. 누워 있거나 손으로 밀어 넣으면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단순히 지방 덩어리로 오해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장기가 제자리를 벗어난 상태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배에 혹이 생기는 이유
탈장이 생기는 근본적인 이유는 복벽의 약화이다. 선천적으로 복벽이 약하거나, 나이가 들면서 근육과 인대가 느슨해질 수 있다. 또한 무거운 것을 자주 들거나, 만성 기침, 변비로 인한 과도한 힘주기 등 복압이 반복적으로 올라가는 상황도 원인이다.

복벽이 약해진 틈으로 장이나 지방 조직이 빠져나오면서 혹처럼 만져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소아에서는 선천적인 복벽 결손이 원인이고, 성인에서는 생활 습관과 연령이 중요한 요인이 된다.

증상과 위험 신호
탈장은 초기에 큰 통증이 없어서 단순히 ‘살이 튀어나왔다’고 생각하며 방치하기 쉽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통증이 생기거나, 돌출 부위가 점점 커지고 딱딱해질 수 있다. 가장 위험한 상황은 장이 탈출한 채 갇혀 혈액 공급이 막히는 경우인데, 이를 ‘교액 탈장’이라고 한다.

이때는 심한 통증, 구토, 복부 팽만이 동반되며 신속히 수술하지 않으면 장 괴사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혹이라도 통증이나 변화를 동반한다면 반드시 전문의 진료가 필요하다.

탈장이 흔히 나타나는 부위
탈장은 특정 부위에 잘 생긴다. 대표적인 것이 사타구니 쪽에 생기는 서혜부 탈장으로, 전체 탈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배꼽 주변에 생기는 제대 탈장, 수술 자리를 따라 생기는 절개 탈장도 흔하다.
드물게는 횡격막 탈장이 발생해 위나 장이 가슴 쪽으로 밀려 올라오기도 한다. 각각의 부위에 따라 증상 양상이 다르지만, 공통적으로는 ‘혹이 만져지고’, ‘활동 시 더 심해진다’는 특징을 갖는다.

치료와 예방법
탈장은 자연적으로 회복되지 않으며, 근본적인 치료는 수술뿐이다. 수술 방법은 탈출된 장기를 제자리로 넣고 약해진 복벽을 보강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복강경 수술이 많이 시행되어 회복이 빠르고 흉터도 적다.
예방법으로는 갑작스러운 복압 상승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변비를 예방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 때 복부에 과도한 힘을 주지 않으며, 기침이 심할 경우 조기에 치료해야 한다. 무엇보다 배에 혹이 만져진다면 단순히 ‘살’로 생각하지 말고 탈장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것이 필요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