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7 부동산 대출 규제 이후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계속해서 둔화하고 있다. 강남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의 상승세는 지속하고 있지만 전주보다 폭은 축소했다.
2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8월 셋째주(8월 18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9% 올랐다. 전주 상승폭(0.10%)보다 축소하며 6·27 부동산 대출 규제 이후 최저 상승폭을 그렸다.
강남 11개 구는 전주 대비 0.12% 올라 전주 상승폭(0.14%)보다 줄었다. 강남 3구의 경우 강남(0.13→0.12%), 서초(0.16→0.15%), 송파(0.31→0.29%) 일제히 전주 대비 상승폭이 소폭 줄었다. 다만 다른 자치구에 비해선 가파른 상승세다. 강남구는 대치‧개포동 주요 단지, 서초구는 반포‧서초동, 송파구는 신천·문정동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또 다른 집값 상승 진원지인 마용성도 마포(0.11→0.06%), 용산(0.13→0.10%), 성동(0.24→0.15%) 모두 전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했다. 용산구는 이촌·이태원동 주요 단지, 성동구는 금호·성수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집값이 올랐다.
이밖에 양천(0.13→0.10%)은 목동과 신정동 대단지 위주로, 광진구(0.13→0.09%)는 광장‧자양동, 동대문구(0.08→0.07%)는 전농‧답십리동 위주로 상승했다.
경기도 과천시(0.20%)는 중앙‧원문동 대단지, 안양 동안구(0.17%)는 평촌‧호계동 구축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은 전주(-0.04%)에 이어 0.01% 하락하며 마이너스 성장세가 계속했다. 연수구(-0.05%)는 송도‧연수동 위주로, 계양구(-0.03%)는 작전‧계산동 구축, 동구(-0.02%)는 송현‧만석동 위주로 하락했다.
지방은 전주 대비 0.02% 아파트 가격이 떨어졌고 5대 광역시도 이 기간 0.02% 내렸다. 세종은 보합, 8개 도는 0.02% 내렸다.
전국 전세가격은 전주와 같은 0.01% 상승을 기록했다. 수도권(0.02%)과 서울(0.05%)은 상승폭이 전주와 같았고, 지방은 보합 유지됐다.
기사 읽기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