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리급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RX 450h+ 프리미엄’ 신설, 가격 8,070만 원부터
●최신 편의사양 기본 적용… 무선 스마트폰 충전기, 12.3인치 디지털 클러스터 탑재
●가솔린·하이브리드·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총 4가지 파워트레인 운영으로 선택폭 확대
안녕하세요.
자동차 인플루언서로 활동 중인 유니지(유카포스트)입니다.
렉서스의 베스트셀링 모델 RX가 2026년형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번 모델은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더 합리적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트림을 새롭게 추가하며 소비자들의 부담을 덜어줄 선택지를 마련했습니다. 또한 디자인과 편의사양 업그레이드를 통해 고급 SUV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새롭게 추가된 합리적인 PHEV
2026년형 렉서스 RX의 가장 큰 변화는 ‘RX 450+ 프리미엄(Premium)’ 트림이 새롭게 추가된 점입니다. 기존 ‘럭셔리(Luxury)’ 트림보다 663만 원 저렴한 8,070만 원부터 시작합니다.

RX 450h+ 프리미엄은 전동화 SUV를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보다 현실적인 가격대의 대안을 제공합니다. 기본 사양으로 파워 리프트게이트, 파노라믹 루프, 21인치 휠이 적용되며, 실내에는 통풍 및 열선 시트와 누럭스(NuLuxe) 가죽 마감이 제공됩니다.

렉서스는 이번 RX에 무선 스마트폰 충전기를 전 트림 기본 사양으로 적용했습니다. 5,000만 원이 넘는 럭셔리 SUV임에도 충전기를 옵션으로 별도 구매해야 했던 불편이 개선된 것입니다. 이외에도 전자식 조절 스티어링 휠, 앰비언트 라이트, 12스피커 오디오 시스템이 제공되며, 12.3인치 디지털 계기판과 14인치 대형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가 탑재돼 운전 편의성이 향상됐습니다.

스타일 변화와 블랙 패키지… 파워트레인 라인업은?
그 밖에도 외관 디자인에서도 소소한 변화가 있습니다. F 스포츠 핸들링 및 F 스포츠 퍼포먼스 트림은 지난해 ‘블랙 라인 스페셜 에디션’에서 파생된 새로운 외관 패키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울트라 화이트, 클라우드버스트 그레이, 이리듐, 인코그니토, 캐비어 등 외장 색상에 포인트를 더해 스포티한 이미지를 강조했으며, 오렌지 브레이크 캘리퍼와 블랙 21인치 휠이 적용됩니다. 실내는 블랙 톤과 그레이 스티치 조합으로 차별화를 더했습니다.

렉서스 RX는 가솔린·하이브리드·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총 4가지 파워트레인을 제공합니다. ▲RX 350 2.4리터 터보 가솔린, 최고출력 279마력, 최대토크 43.7kg.m ▲RX 350h 하이브리드 시스템, 최고출력 249마력, 최대토크 32.6kg.m ▲RX 500h 하이브리드 고성능 버전, 최고출력 371마력, 최대토크 55.9kg.m ▲RX 450h (PHEV) 2.5리터 엔진 + 3개의 전기모터 + 18.1kWh 배터리, 최고출력 308마력, 전기 주행 거리 약 61km이며, 특히 RX 450h+는 도심에서 전기차처럼 활용할 수 있으며, 장거리에서는 하이브리드 모드로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한 것이 강점입니다.

차별화된 매력을 가진 2026년형 RX 가격과 출시 시점은?
국내 시장에서 렉서스 RX는 메르세데스-벤츠 GLE, BMW X5, 제네시스 GV80 등과 경쟁합니다. 벤츠와 BMW가 대형 PHEV SUV를 고가에 제공하는 반면, 렉서스 RX 450h+ 프리미엄은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과 고급 편의사양을 동시에 확보해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제네시스 GV80의 경우 최근 부분변경을 거쳐 디지털화와 하이브리드 라인업 확장에 나서고 있는데, 이번 RX 450h+ 프리미엄은 ‘가격 대비 고급 SUV 전동화 경험’을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인 대안이 될 전망입니다.

한편, 2026년형 RX의 미국 기준 판매 시작가는 5만 1,175달러(한화 기준 약 7,160만 원)로, 전년 대비 600달러 인상됐습니다. 국내 출시 시기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나, RX는 꾸준히 국내 수입 SUV 베스트셀링카 상위권을 유지해온 만큼 빠른 도입이 예상됩니다.

결과적으로 럭셔리 SUV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RX 450h+ 프리미엄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더 합리적인 PHEV 선택지’를 제시했습니다. 전동화 전환 속도가 빨라지는 지금, 국내 시장에서도 이러한 합리적 전동화 모델의 등장이 소비자들의 선택 폭을 얼마나 넓혀줄지 주목되는데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드리며,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상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