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 아이오닉 5 N, 해외에서 ‘전기차 최강자’로 우뚝 선 이유
“수퍼카와 드래그 레이스를 하는 전기 SUV의 혁명”
전기차 시대가 본격화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 5 N이 글로벌 무대에서 최고의 고성능 전기차 반열에 올라섰다.
단순히 ‘합리적인 패밀리카’에서 그치지 않고, 람보르기니 같은 슈퍼카와 당당하게 맞짱을 뜨고, 포르쉐·테슬라·로터스 등 수천만 원대 수입 프리미엄 전기차들을 연이어 제치면서 명성을 얻고 있다. 왜 해외 전문 평가단과 커뮤니티, 미디어에서 “이 차가 진짜 전기차 끝판왕”이라 말하는지, 그 배경을 심층적으로 파헤친다.

글로벌 드래그 레이스에서 입증된 ‘현대 N’의 실력
람보르기니와의 드래그 레이스
- 영국의 유명 자동차 채널 Carwow 등에서 아이오닉 5 N은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 SV(750마력)와 정면 대결을 펼쳤다. 두 차량 모두 네 바퀴 굴림과 출중한 출력(람보르기니 750마력, 아이오닉 5 N 650마력)을 자랑하지만, 아이오닉 5 N은 두꺼운 배터리로 인한 무게가 부담이었다.
- 실제 드래그 레이스 결과, 체중에서 밀린 아이오닉 5 N이 가속구간 동안 팽팽하게 따라붙는 장면이 다수 연출됐다. 정지 상태 가속에서는 람보르기니가 근소하게 앞섰지만, 롤링 스타트(주행 중 가속) 드래그에서는 오히려 전기차 특유의 즉각적인 토크로 아이오닉 5 N이 앞서는 순간도 연출됐다. 슈퍼카와 엎치락뒤치락 승부를 펼치는 합리적 가격의 전기차에 세계가 놀랄 만했다.

중국 서킷, 전기차 최상위권 차종 비교 테스트
- 중국 자동차 전문 리뷰어가 직접 진행한 트랙테스트에서는 아이오닉 5 N, 포르쉐 타이칸 4S, 로터스 엘렉트라 S, 테슬라 모델 3, 샤오미 SU7 등 1억~2억 원대 고급 전기차들과 8,000만 원대 아이오닉 5 N을 비교했다.
- 포르쉐, 로터스, 테슬라, 샤오미 등 모든 차량은 첫 바퀴에서 제동계와 브레이크가 과열되어 랩타임이 급격히 하락하거나 아예 추가 주행이 불가했다. 반면 아이오닉 5 N만이 고장 없이 트랙을 9바퀴 연속 주행, 각 바퀴마다 랩 타임 2분 내외를 꾸준히 기록했다. 테스트 차량조차 이미 브레이크가 30%밖에 남지 않은 ‘소모품 상태’였으나, 내구성·냉각성능·재생 브레이크 설계에서 탁월함이 뚜렷했다.
- 전기 고성능 브랜드들이 풀어도 못 잡은 ‘브레이크 열내구(페이드)’와 ‘서킷 연속주행’ 문제를, 아이오닉 5 N은 완벽히 극복했다.

주요 글로벌 자동차상 석권
2023년 ‘영국 탑기어 올해의 차’ 선정
- 영국 BBC의 대표 자동차 미디어 ‘탑기어’는 매년 세계 최고의 차를 선정한다. 2023년, 아이오닉 5 N이 ‘올해의 차(Car of the Year)’로 이름을 올렸다. 단순 전기차 아닌, 모든 내연기관·하이브리드·하이퍼카 경쟁을 통틀어 최고상을 받은 것이다.
- “이 차는 새로운 전기차 시대의 기준점을 세웠다”, “트랙과 일상 모두를 만족시키는 혁신적인 차량”이라는 평가가 어울릴 정도로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2024년 ‘미국 카 앤 드라이버 올해의 전기차’ 선정
- 미국의 가장 영향력 있는 모빌리티 미디어 ‘Car & Driver’의 2024년 ‘EV of the Year(올해의 전기차)’에도 현대 아이오닉 5 N이 뽑혔다.
- 동급 경쟁 모델로는 BMW, 아우디, 테슬라, GM 등 글로벌 전기차들이 모두 준수한 성적을 얻었으나, “주행의 재미·가치·혁신성에서 모두 최고점”이라는 평가로 아이오닉 5 N이 1위를 차지했다.

전기차 시장의 게임체인저가 된 이유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성능=프리미엄’ 공식 파괴
- 기존 전기차 강자인 테슬라, 포르쉐, 로터스 등은 1억~2억 원대 가격대와 함께 ‘프리미엄 퍼포먼스’ 이미지를 앞세웠다. 그러나 아이오닉 5 N은 8,000만 원대 합리적 가격으로 이보다 높은 내구성, 연속 성능, 재미를 한 번에 잡았다.
- 단순 ‘가성비’가 아니라, 트랙에서 실제 한계까지 끌어낼 수 있는 ‘진짜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전기 고성능차의 정의 자체를 새로 썼다.

“슈퍼카 시대를 뒤집은 전기차의 반란, 그 중심에 현대차 아이오닉 5 N”
아이오닉 5 N은 단순히 ‘빠른 전기차’가 아니라, 자동차 시장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고 있다. 슈퍼카와 겨루는 퍼포먼스, 트랙에서 검증된 내구성, 일상과 듀얼라이프에 최적화된 패키지, 그리고 세계 최고 권위 자동차상 2관왕(TopGear, Car&Driver EV of the Year).
“슈퍼카를 제친 한국의 전기차”라는 수식어가 결코 과장이 아닌 시대다. 이 차가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왜 ‘끝판왕’이라 불리는지, 앞으로도 계속 실력으로 증명해줄 것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