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된장국은 한국인의 밥상에 빠지지 않는 대표 국물 반찬입니다
짭짤하고 구수한 맛으로 며칠씩 나눠 먹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된장국을 끓였다가 다시 데우고 또 데우는 습관, 몸속에 독소를 쌓는 지름길일 수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엔 더 큰 주의가 필요합니다.
재가열된 된장국, 아플 수밖에 없는 이유

된장국은 숙성된 발효식품인 된장을 주재료로 사용합니다. 한 번 끓이면 미생물이 줄어들지만, 식힌 후 실온에 오래 두면 다시 세균이 증식할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재가열하면 모든 균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데다, 일부는 열에 의해 파괴되지 않아 더 강한 독소로 바뀔 수 있습니다. 반복된 온도 변화는 유해균의 번식 환경을 만들고, 위장 장애나 식중독 증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은 여름철 실온 보관입니다

30도 안팎의 여름철 실온은 세균에게 천국입니다. 끓인 된장국을 그대로 식탁 위에 두고 몇 시간 후 다시 데우는 행동은 위험합니다.
국물 속 단백질, 채소 찌꺼기 등이 부패하면서 냄새는 나지 않아도 독성 물질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특히 클로스트리디움,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독소는 열에 강해 데워도 사라지지 않습니다.
가장 안전한 보관법은 ‘냉장 후 1회 재가열’입니다

된장국은 끓인 후 반드시 빠르게 식혀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해야 합니다. 이후 한 번만 데워 먹고 남은 것은 과감히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 이상 지난 된장국을 다시 데우는 습관은 장 건강을 해치는 지름길이 될 수 있습니다. 전자레인지 대신 냄비에 충분히 끓여 중심 온도가 75도 이상 오르도록 가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된장국은 몸에 좋은 발효식품이지만, 잘못된 보관과 재가열은 독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엔 세균 증식 속도가 빨라 더 위험합니다.
소중한 가족의 건강을 위해 된장국은 하루 안에 먹고, 보관할 땐 반드시 냉장, 재가열은 한 번만 지켜주세요. 안전한 식탁이 건강을 지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