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중은행들이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위해 대출 규제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 수도권에 국한됐던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제한이 지방까지 확대되고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택담보대출(주담대)과 전세대출 창구도 속속 닫히고 있다. 금융당국이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 속도를 절반 수준으로 낮추라는 지침을 내린 가운데 은행권이 자체적으로 대출 취급 범위를 좁히며 총량 관리에 나선 모습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6일부터 오는 10월까지 임대인 소유권 이전이나 주택 처분, 근저당 말소 등을 조건으로 하는 전세자금대출 취급을 전면 중단했다.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하는 ‘갭투자’ 목적 대출과 유주택자 대상 전세대출도 모두 차단된다. 6·27 부동산 대책에서 수도권에 한정했던 규제를 전국으로 확대한 조치다.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이미 지난해 9월부터 전국 단위로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을 중단하는 내부 방침을 시행해 왔다. 은행권 전반에서 조건부 전세대출 축소 기조가 자리 잡고 있는 셈이다.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담대·전세대출 채널 축소도 가속화되고 있다. 하나은행은 5일부터 9월 실행 예정인 주담대와 전세대출 신규 신청을 중단했다. 6월부터 모집 법인별 신규 취급 한도를 설정해 관리했으나 9월분 한도가 모두 소진되자 접수를 한시 중단한 것이다. 현재는 10월 실행 예정분에 대해서만 신청을 받고 있다.
신한은행 역시 모집인을 통한 주담대 한도가 9월 실행분까지 소진돼 10월분만 접수하고 있다. NH농협은행도 9월 실행분까지 한도가 소진돼 모집인 채널을 통한 신규 접수를 중단했으며 일부 상품에서는 모기지신용보험(MCI)·모기지신용보증(MCG) 가입 중단으로 대출 한도가 줄어드는 조치도 시행했다.
다만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은 아직까지 모집인 채널에 별도 제한을 두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금융당국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담대 잔액이 지난달 말 604조 원으로 전월 대비 4조5000억 원 증가한 점을 주시하며 증가세가 이어질 경우 추가 규제를 경고한 상태다.
금융권 관계자는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질 경우 추가 대출 제한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며 “하반기 총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려면 대출 속도 조절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기사 읽기
- 의대 교수들 “이번 주부터 의대생 복귀…따뜻한 격려 보내달라”
- 여의도 알짜땅 등 포함될까?…정부 공급대책에 쏠리는 시선
- 6·27 규제 약발 끝?…서울 아파트 매맷값 상승폭 확대
- [단독] 미국산 쌀 수입 최소화, 사실 아니었다?…”트럼프 추가 수입 압박할 것”
- 고가 아파트 4억 뛸 때 저가는 4만 원 뒷걸음…아파트 비쌀수록 ‘쌩쌩’
댓글0